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하악 제1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

영문명
Physiologic drift of the mandibular dentition following the extraction of four first premolars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전윤식(Youn-Sic Chun)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6권 제1호, 33~4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6.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소구치 발치 직후 일정기간 동안 고정식 장치를 이용한 치료를 의도적으로 연기함으로써 의외의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입증하는 임상경험을 교정의들도 가끔 하게 된다. 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현상을 연구한 논문에 의하면 이를 생리적 치아이동(driftodontics)이라 명명하였다. Driftodontics의 개념이 교정학 영역에서 조심스럽게 소개되고 있는 이유는 driftodontic의 성질과 이동되는 양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가 미흡한 실정이며 이러한 치아이동을 이용하기 위한 지침서가 거의 소개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은 제I급 부정교합자 중 이전에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고, 상, 하악 치열궁에 crowding이 있어 상, 하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기로 한 57명(남자16명, 여자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26명으로, 평균연령은 13.5세(12.7-14.9세) 였으며 제2군은 31명의 환자로 평균연령 21.3(18-22.1)세였다. 두군 모두에서 소구치 발치 후 약 7개월 정도의 driftodontics기간을 유지한 후 측모 두부방사선사진 및 석고모형 계측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군(18세-22세)에서는 주로 하악 전치 및 견치의 후방이동이 일어났으며 하악구치는 상대적으로 이동이 미약한 정도로 나타났다. 2. 1군(12세-15세)에서는 전치부 변화 비율이 2군에 비해 더욱 많이 일어났으며, 구치변화는 2군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양은 조금 컸다. 3. 하악 전치부의 생리적 이동으로 불규칙지수(irregularity index)가 감소하고 crowding양이 감소하였다.

영문 초록

Retrostpective study of two groups of patient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hysiologic drift of the mandibular teeth following the extraction of four first premolars. The concept of physiologic drift, commonly referred to as “driftodontics”, following first premolar extractions has been gaining acceptance in the orthodontic community, the exact nature and amount of drift has not been adequately documented. There were also no guide lines as to when drift should be allowed to occu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physiologic drift of the untreated mandibular dentition following extraction of the four first premolars during the early permanent and late permanent dentition stages. The early permanent dentition extraction sample(Group 1) included 26 patients and the mean age at pretreatment was approximately 13.5 years. The observation period following extraction was approximately 6.96 months. The late permanent dentition extraction sample(Group 2) included 31 patients. The mean age at pretreatment was 21.3 years, followed by a observation period of 7.26 month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except for the extractions, no other mandibular therapy was rendered. Pre-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and dental casts were analyz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Group 2 showed marked changes in movements of the mandibular incisors and canines but minimal changes in molars. 2. The amount of changes in movements of the mandibular incisors and canin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1 than in Group 2. The results showed no differences in rates of molar movements between groups. 3. Physiologic drift of the dentition produced desirable changes such as decreased Incisor Irregular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윤식(Youn-Sic Chun). (1996).상,하악 제1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6 (1), 33-41

MLA

전윤식(Youn-Sic Chun). "상,하악 제1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6.1(1996): 3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