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양악수술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이용수 35

영문명
Soft tissue changes after double 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조은정(Eun-Jung Cho) 양원식(Won-Sik Yang)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6권 제1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6.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이동수술과 하악골 후방이동수술을 동시에 시행하였을 때 경, 연조직 측모 및 연조직 후경의 변화를 관찰하고 경, 연조직 변화의 상관성과 그 비율을 산출하여 교정 악교정 수술복합 치료 계획의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상, 하악골의 수직적 골격 부조화는 경미하고 전후방적 골격 부조화가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1990년 7월부터 1995년 4월 중에 Le Fort I골절 단술 또는 Le Fort II골절단술로 상악골을 전방이동시키는 동시에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을 후방이동시킨 성인환자 25명(남자 13명, 여자 12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따른 상순부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는 Stms를 제외하면 상관성이 높았으며 A point의 전방이동에 따라 Sn, SLS, LS는 각각 71%, 67%, 37%의 비율로 전방이동하였다. 2.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른 하순부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는 상관성이 상당히 높았으며 ID. B point, Pog, Gn의 후방이동에 따라 LI, ILS, Pog`, Gn`은 각각 84%, 107%, 96%, 97%의 비율로 후방이동하였다. 3.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라 SLS, LS, Stm, LI는 중등도의 상관성을 가지며 하방이동하였다. 4. 경조직의 전후안면고경비율과 연조직의 상, 하안면고경은 수술전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술후 Stm 의 하방이 동으로 하순고경에 대한 상순고경의 비율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001). 5. 연조직 후경은 수술후 LI-LIH에서는 증가하고 LS-LSH에서는 감소하였으며 LS-LSH의 수술후 변화량과 수술전 후경은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mount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after simultaneous maxillary advancement and mandibular setback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sample consisted of 25 adult patients(13 males and 12 females) who had severe anteroposterior skeletal discrepancy. These patients ha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which consisted of simultaneous Le Fort I or Le Fort II osteotomy and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The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lateral cephalograms were evaluated. The computerize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SPSS/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rrelation of maxillary hard and soft tissue horizontal changes were high and the ratios for soft tissue to A point were 71% at Sn, 67% at SLS and 37% at LS. 2. The correlation of mandibular hard and soft tissue horizontal changes were very high and the ratios were 84% at LI, 107% at ILS, 96% at Pog´ and 97% at Gn´. 3. The correlation of mandibular hard tissue horizontal changes and soft tissue vertical changes were moderate. 4. The upper to lower lip length were increased(P<0.001). 5. The soft tissue thickness were decreased in upper lip and increased in lower lip(P<0.001). The postsurgical changes were reversely correlated with initial thickness in upper lip.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정(Eun-Jung Cho),양원식(Won-Sik Yang). (1996).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양악수술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6 (1), 1-16

MLA

조은정(Eun-Jung Cho),양원식(Won-Sik Yang).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양악수술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6.1(1996):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