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흰쥐 부신에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과 도파민 수용체간의 상관성
이용수 0
- 영문명
- Interrelationship between Dopaminergic Receptors and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Rat Adrenal Gland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임동윤(Dong-Yoon Lim) 윤중근(Joong-Keun Yoon) 문백(Baek Moon)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30권 제1호, 87~10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파민 함유세포가 교감신경절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말초에서 신경전달 물질로써 그의 역할과 작용기전에 대해서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파민 D2-수용체의 선택적인 효능약으로 알려진 apomorphine이 흰쥐 적출 관류 부신에서 카테콜아민(CA)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코자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0μM Apomorphine의 비교적 낮은 농도를 부신정맥내에 20분간 관류 하였을때 5.32mM ACh, 56mM KCl, 100μM DMPP 및 100μM McN-A-343 등의 투여에 의한 CA 분비작용이 의의 있게 감소되었다. Apomorphine 농도를 30μM로 증가시켜 관류하였을때 상기약물에 의한 CA 분비작용은 더욱 억제되었으며 또한 Bay-K-8644에 의한 100μM의 고농도로 전처치 하였을때, ACh, excess K+, DMPP 및 McN-A-343에 의한 CA분비작용은 현저히 차단되었다. 도파민 D2-수용체 차단제인 metoclopramide (30μM)으로 20분간 관류 하였을때 ACh, DMPP 및 McN-A-343에 의한 CA 분비작용은 유의하게 억제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excess K+에 의한 CA분비작용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metoclopramide (30μM) 존재하에서 30μM apomorphine으로 20분간 전처치 하였을때 excess K+ 뿐만 아니라 DMPP의 CA 분비작용은 별다른 변화를 받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실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apomorphine은 cholinergic receptor stimulation과 membrane depolarization에 의한 CA 분비작용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여, 이러한 작용은 억제성 도파민 수용체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흰쥐 부신 수질의 chromaffin cell 내로 칼슘의 유입을 억제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known for some time that dopamine-containing cells are existed in sympathetic ganglia, i.e., small, intensely fluorescent cells. However, its role and mechanism of action as a peripheral neurotransmitter are poorly understood so far. In the present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the effect of apomorphine, which is known to be a selective agonist of dopaminergic D2. receptor on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The perfusion of a low concentration of 10uM apomorphine into an adrenal vein for 20 min produced significant reduction in CA secretion induced by 5.32 mM ACh, 56 mM KCl, 100 uM DMPP and 100 uM McN-A-343. Increasing apomorphine concentration to 30 uM led to more markedly decreased CA secretion as compared to the case of 10 uM apomorphine and also did inhibit clearly CA release by 10-5M Bay-K-8644. Furthermore, in adrenal glands preloaded with a higher dose of 100 uM apomorphine, CA releases evoked by ACh, excess K+, DMPP and McN-A-343 were almost abolished by the drug. The perfusion of 3.3 × 10-5M metoclopramide, which is well-known as a selective dopaminergic D2 antagonist, produce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f CA release by ACh, DMPP and McN-A-343 but did not affect that by excess K+. However, preloading of 30uM apomorphine in the presence of metoclopramide did not modify the CA secretory effect of excess K+ and DMPP. Thes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apomorphine causes dose-dependent inhibition of CA secretion by cholinergic receptor stimulation and also by membrane depolarization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suggesting that these effects appear to be exerted by inhibiting influx of extracellular calcium into the rat adrenal medullary chromaffin cells through activation of inhibitory dopaminergic receptor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심근 수축에 있어서 Calcium 이온의 기원에 관한 약리학적 연구
- α-독으로 처리한 토끼창간막동맥에서 Norepinephrine과 GTP에 의한 마이오신 인산화의 증가에 대한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의 역할
- 백서 대뇌피질에서 Opioid Kappa수용체의 Histamine 유리조절기능에 관한 연구
- GS 283의 평활근 억제 작용기전
- Lidocaine 억제 심장의 수축성에 대한 내인성 지질의 영향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FMLP에 의한 사람 중성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 Oxomemazine의 Muscarinic Receptor Subtypes에 대한 결합성질
- Cholecystokinin에 의한 음식물 섭취 억제시 흰쥐 뇌내 Dopamine 함량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및 생화학적 연구
- 청반핵 자극으로 인한 노르아드레날린의 유리가 동통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 선천성 고혈압 흰쥐와 정상혈압 흰쥐의 교감신경성 신경전달에 미치는 부신수질 및 Renin-Angiotensin계의 역할
- 갑각류 골격근의 Sarcoplasmic Reticulum에서 칼슘유리
- 흰쥐 뇌하수체전엽 배양세포에서 GnRH 및 난소호르몬에 의한 LHβ subunit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연구
- Haloperidol 장기 투여된 Mouse Striatum에서 cAMP양에 미치는 Opiates의 영향
- 골격근 근장그물 칼슘이동에 대한 Phospholamban 펩타이드의 조절
- 흰쥐 부신에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과 도파민 수용체간의 상관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The effects of maxillary incisor positions and chin prominences on the perception of lateral smiling profile attractiveness among orthodontists and laypersons
-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obesity on orthodontic tooth movement
- Are different photogrammetry applications on smartphones sufficiently reliabl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