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서 대뇌피질에서 Opioid Kappa수용체의 Histamine 유리조절기능에 관한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Regulation of Histamine Release by Kappa Opioid Receptor in Rat Cortical Slices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김기원(Kee-Won Kim) 조규박(Kyu-Park Cho)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30권 제1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pioid 수용체에는 μ, δ 그리고 κ의 세가지 주된 형이 존재함이 알려져 있는 바, 최근 수용체 동정 기법과 선택적인 약물의 개발로 인해 그 아류들이 존재함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Opioid κ2-수용체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 수용체에 있어서의 선택적인 효현제 또는 길항제가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써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백서 대뇌피질 세표막표본에 opioid μ와 δ 수용체를 과량의 DAMGO와 DPDPE로 봉쇄한 후 수종 κ수용체 결합자의 [3H] idprenorpnine(DIP) 결합억제효과와 이에 대한 sodium과 GTYγS의 영향을 관찰하여 이를 지표로 각 ligand의 수용체에서의 작용양상을 검토하여 이를 토대로 동일 표본에서 [3H]diprenorpnine[3H]DIP 결합은 DIP, ethylketocyclazocine 그리고 bremazocine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으나, κ1, 수용체 효현제인 U69593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않았다. Opioid κ1, 및 κ2-수용체 효현제인 EKC의 Ki치는 배양액내 NaCl을 NMDG로 알려진 GTPγS 100μM 첨가에 의해 증가되었다. 그러나 Bremazocine과 DIP의 Ki치는 sodium 제거 또는 GTPγS 100μM 첨가에 의해 증가되었다. 그러나 Bremazocine과 DIP의 Ki치는 sodium 제거 또는 GTPγS 첨가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다. 1-[3H] histidine을 미리 부하한 대뇌피질 절편에서 30mM K+ 에 의한 [3H] histamine의 유리는 (-)EKC에 의하여 영향받지 않았다. (-)EKC의 histamine유리 억제효과는 naloxone, norbinaltorpmine 또는 bremazocine에 의하여 각각 억제되었다. 본 실험 성적은 백서 대뇌피질에서 histamine의 유리는 이 부위에 존재하는 opioid κ2-수용체에 의하여 조절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are several subtypes of κ opioid receptor. We examined ligand binding profiles and the effects of various opioid agonists on high potassium-stimulated release of [3H] histamine. We have evaluated the properties of non-μ, non-δ, binding of [3H] DIP ([3H] diprenorphine), anonselective opioid antagonist, in rat cortex membranes. Binding toμ and δ sites was inhibited by the use of an excess of competing selective agonists (DAMGO, DPDPE) for these sites. (-) Ethylketocyclazocine (EKC), DIP and bremazocine inhibited [3H] DIP binding. However, arylacetamides (U69593 and U50488H) gave little inhibition Replacement of sodium by NMDG and the addition of guanine nucleotide influenced the inhibitory potency of (-) EKC, an agonist for κ1-and-κ2-binding site, but not of bremazocine. This result suggests that bremazocine can be an antagonist at this binding site. Also, we have examined the opioid modulation of K+(30mM)-induced [3H] histamine release in rat frontal cortex slices labeled with 1-[3H] histidine. The [3H] histamine release from cortex slices was inhibited by EKC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However, the δ receptor selective agonists, DPDPE and deltorphine II, μ receptor agonists, DAMGO and TAPS, κ1-agonists, U69593 and U50488H, and ε-agonist, β-endorphin, did not. The concentration-response curve of EKC was shifted to right in the presence of naloxone, nor-binaltorphimine and bremazocin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κ2 opioid receptor regulates histamine release in the fromtal cortex of the ra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심근 수축에 있어서 Calcium 이온의 기원에 관한 약리학적 연구
- α-독으로 처리한 토끼창간막동맥에서 Norepinephrine과 GTP에 의한 마이오신 인산화의 증가에 대한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의 역할
- 백서 대뇌피질에서 Opioid Kappa수용체의 Histamine 유리조절기능에 관한 연구
- GS 283의 평활근 억제 작용기전
- Lidocaine 억제 심장의 수축성에 대한 내인성 지질의 영향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FMLP에 의한 사람 중성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 Oxomemazine의 Muscarinic Receptor Subtypes에 대한 결합성질
- Cholecystokinin에 의한 음식물 섭취 억제시 흰쥐 뇌내 Dopamine 함량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및 생화학적 연구
- 청반핵 자극으로 인한 노르아드레날린의 유리가 동통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 선천성 고혈압 흰쥐와 정상혈압 흰쥐의 교감신경성 신경전달에 미치는 부신수질 및 Renin-Angiotensin계의 역할
- 갑각류 골격근의 Sarcoplasmic Reticulum에서 칼슘유리
- 흰쥐 뇌하수체전엽 배양세포에서 GnRH 및 난소호르몬에 의한 LHβ subunit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연구
- Haloperidol 장기 투여된 Mouse Striatum에서 cAMP양에 미치는 Opiates의 영향
- 골격근 근장그물 칼슘이동에 대한 Phospholamban 펩타이드의 조절
- 흰쥐 부신에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과 도파민 수용체간의 상관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The effects of maxillary incisor positions and chin prominences on the perception of lateral smiling profile attractiveness among orthodontists and laypersons
-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obesity on orthodontic tooth movement
- Are different photogrammetry applications on smartphones sufficiently reliabl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