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묘화에 의한 유아-어머니 관계와 유아의 자아개념

이용수 37

영문명
Child-Mother Relation by P.S.C.D. and Child’s Self-Concept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정현희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6권 제1호, 73~8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1.0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아개념이란 자기자신을 쓸모있는 사람으로 보느냐, 쓸모없는 사람으로, 어떤 일에 대해서 자신을 적합한 사람으로 보느냐,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보느냐, 또는 자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느냐,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냐냐 등과 같이 한 인간이 자신에 대해 갖는 자기지각과 평가로써 개인의 행동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우수경, 1992).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소유한 사람은 어떤 일을 처리할때나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판단에 대하여 자신감을 갖고 있다. 그리하여 사회적 활동에서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며, 대인관계에서도 어려움을 덜 겪고 창의적인 경향을 보인다(Coopersmith, 1981). 반면에 낮은 자아개념을 소유한 사람은 자신에 대한 신뢰가 결여되어 있다. 그리하여 자신의 새로운 생각을 표현하기를 주저하며, 매사에 소심하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힘들다. 이러한 자아개념은 유아기에 그 바탕이 형성되는데,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특히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틀의 반영적 평가와 자기 행동효과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 그리고 사회적 비교과정으로부터 형성된다. (Harter, 1982. Schachter, 1982). 반영적 평가에 의한 자아개념획득의 과정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즉 유아는 자신에게 중요한 가족원들의 지각에 의존하여 자기를 지각하고 그들의 행동에 반사되어 있는 자신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하여 자아개념을 형성한다(Gecas & Pasley, 1983). 특히 어머니에 대한 지각 및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해 간다(Gecas & Schwalbe, 1986).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한 자아개념 형성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연구의 대부분은 아동기와 청년기에 치중하였다. 그 이유의 하나는 어머니-유아관계 측정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어머니-아동 관계는 주로 질문지법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며, 이 경우 아동의 언어적 제약에 의하 유아기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유아의 연구에 있어서는 주로 면접에 의해 측정이 이루어져 왔는데, 이 경우 역시 유아의 언어적 이해의 한계로 유아면접의 제한점이 야기되어 왔다. 그리하여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어머니 자신이 보고하는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다를 수 있고, 자녀는 어머니의 실제 적 의도와는 다르게 어마니의 양육행동을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γestigat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Are there any gender difference in the child-mother relation and child\'s se1f-concept?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hild-mother relation and childl\'s self-concept? (3) Is child\'s self-concept influenced by the child -mother relation and child\'s sex?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6 boys and 144 girls attenrung the nursery school in Pusan. The instruments were Burn\'s P.S.C.D(1990) on child-mother relation and Woo\'s questionnaires(199Z) on child\'s self-concept. The result were as follows : (l). There are gender difference in mother\'s faciaI expression, the positive symbol and mother\'s distance from child. (2). There were significant conelation between mother\'s facial expression and boy\'s self-concept, between the negative symbol and boy\'s self concept, between mother\'s distance from boy and boy\'s self concept.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irl\'s positive symbol and girl\'s self-concept, and between mother\'s distance from girl and girl’s self-concept (3). The mother’s facial expression, the negative symbol and the mother\'s distance from child were important predictor variables influencing child\'s self concep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현희. (1999).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묘화에 의한 유아-어머니 관계와 유아의 자아개념. 미술치료연구, 6 (1), 73-87

MLA

정현희.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묘화에 의한 유아-어머니 관계와 유아의 자아개념." 미술치료연구, 6.1(1999): 73-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