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환경에서 자기조절,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와의 관계: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361

영문명
Relationships among Self-Regulation, Teaching Presence, Perceived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Interac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김시원,임규연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28권 제4호, 743~76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플립드 러닝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실제 교육환경에서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최근 연구 및 활용에 있어 양적으로 급격히 증대되고 있을 뿐 아니라 효과성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그 다음 단계로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의 수준이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정도를 분석하고,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수실재감을 선행연구의 제안에 따라 수업 설계 및 조직, 직접 촉진으로 구 분하였다. 이와 함께 학습성과를 인지적 측면인 성취도와 정의적 측면인 만족도로 나누어 연구 모형을 상정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수학과 플립러닝 수업을 수강하는 중학생 58명을 대상으로 자료 를 수집,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은 인지된 상호작용을, 설계 및 조직과 자기조절은 성취도를, 직접촉진, 인지된 상호작용과 자기조절은 만족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상호작용은 자기조 절, 직접 촉진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활발한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유도하기 위해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자기조절 스 킬 개발을 촉진하는 다양한 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또한 인지적 측면의 성과인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수업 조직과 수업에 대한 자세한 안내가 요구되고, 정의적 측면의 성과인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담화를 촉진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간의 상 호작용을 고려한 학습기제에 대한 교수자의 면밀한 이해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Flipped learning is one of the approaches supporting learner-centered learning and practical applications as well as academic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nowadays. Given that there exists sufficient empirical evidence of flipped learning, exploration of related variables that can affect learning outcomes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conducted at this mo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teaching presence, perceived interaction on learning outcome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interaction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Also, this study divided teaching presence into ‘design and organization’ and ‘directed facilitation’ to explore the role of teaching presence in detail. The results reported that self-regulation predicted perceived interaction. Also design and organization and self-regulation predicted achievement and directed facilitation, perceived interaction and self-regulation predicted satisfaction. Lastly perceived inter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ed facilitation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re should be strategies which can develop and improve self-regulation level to promote learners’ interaction and also instructor should utilize different way of improving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outcomes. Finally, instructor should understand the complex mechanism of flipped learning process considering interaction. Thus,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strategies that can be used in flipped learning contex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시원,임규연. (2016).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환경에서 자기조절,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와의 관계: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8 (4), 743-766

MLA

김시원,임규연.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환경에서 자기조절,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와의 관계: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8.4(2016): 743-7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