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취정서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부모학습관여의 예측력: 중학생의 수학 성취 수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155

영문명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s Predictors on Math Achievement Emotions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엄태순,윤미선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28권 제4호, 767~79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성취정서란 학습활동이나 결과와 직접 결합된 정서로,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성취정서에 대한 성 취목표지향성과 부모의 학습관여의 예측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정서의 영역 특수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우리나라 교육 상황에서 부모의 학습관여가 가장 높은 과목으로 볼 수 있는 수학을 연구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K중학교 남?여 학생 532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성취수준에 따른 회귀모형 내에서 유의미한 예측변인들을 비교 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 중 지각된 학업성취수준 상?하 집단에 속하는 379명의 자료만을 최종 분 석에 사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 성취정서의 경우 상 위집단 회귀모형에서는 성취목표지향성 중 결과목표와 숙달목표의 정적인 예측력과 과제회피목표의 부적 예측력을 확인하였으나 하위집단 회귀모형에서는 숙달목표와 과제회피목표의 설명력만이 상위 집단과 동일한 방향성을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학습관여 요인들 은 학습자의 긍정 성취정서에 유의한 예측변인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정 성취정서의 경우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공통적으로 과제회피목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예측력을 보였다. 부모 학습관여 요인 중 학습방식 존중은 상위집단 회귀모형에서 부적 예측력을, 학습성과 압력은 하위집 단 회귀모형에서 정적 예측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성취정서와 학 습자의 동기적 특성으로서의 성취목표지향성 및 환경 변인으로서 부모의 학습관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on achievement emotions focused on mathematics. A survey of 532 middle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and the data of 379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 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0.0. The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s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on positive achievement emo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achievement leve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utcome, mastery, and work-avoidance goal predicted positive achievement emotions in the high level. Also, mastery and work-avoidance goa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ow level. Seco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had an impact on negative achievement emotions. Specifically, respect of learning style predicted in the high level and learning achievement pressure impacted in the low level. Also, only work-avoidance goal had an effect on negative achievement emotions, regardless of the achievement leve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태순,윤미선. (2016).성취정서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부모학습관여의 예측력: 중학생의 수학 성취 수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8 (4), 767-790

MLA

엄태순,윤미선. "성취정서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부모학습관여의 예측력: 중학생의 수학 성취 수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8.4(2016): 767-7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