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문화변동과 蘇軾의 이해 - 서화를 중심으로 -

이용수 255

영문명
Cultural Chan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Understanding of Su Shi(蘇軾) -Focusing on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현권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4권, 379~41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7세기부터 18세기에 이르는 조선후기의 蘇軾에 대한 인식과 애호경향, 그리고 소식 서풍의 수용을 사림의 등장, 색목별 사상, 그리고 예술론이라는 세 가지의 측면을 통해 분석하였다. 고려후기부터 시작된 소식 애호와 관련 예술에 대한 관심은 조선에서도 이루어졌다. 다만 시기별로 차이가 난다. 15세기와 16세기 전반까지는 대체로 고려후기의 경향을 이었다. 이후 16세기 후반에는 勳舊세력이 쇠퇴하는 가운데 전면에 등장한 士林은 성리학에 기초하여, 소식이 불교와 道家에 우호적이었던 점과 성리학을 연 程頤와 정치적으로 대립한 사실을 이유로 들어 폄하하는 견해가 나타났다. 이 견해는 조선시대 내내 지속되었다. 그렇지만 象數學같은 북송대의 철학을 수용하고 불교와 도가 이론을 익혔으며 양명학에 관심을 기울인 徐敬德계, 특히 북인을 중심으로 소식 애호 역시 이어졌다. 이들은 色目의 해체 이후에도 남인과 서인에 편입되어 자신들의 사상과 예술 성향을 이어가며, 조선후기에 소식애호 경향과 관련 예술이 지속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런 문화현상은 1623년의 인조반정 이후 서인의 득세로 잠시 침잠해졌다가 17세기 후반의 색목의 분화와 재편 속에서 점차 다양한 편차를 가지며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북인계가 주축인 근기남인과 서인 일부가 소식상의 제작 및 소식 서체를 이용하는 등, 소식 애호 경향을 확대시켰다. 이후 18세기 전반에 이르면 心學적 요소를 중요하게 여기고 陽明學을 받아들인 소론이 주도하여 東坡體의 활용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18세기 후반에는 人物性同論을 내세운 노론 洛論의 일부 문인이 道學 중심의 성향을 유지하는 가운데 함께 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사림 내에서 소식 애호는 북인 및 서경덕과 관련된 부류에서 주로 이루어졌지만 시기가 흐를수록 다른 색목으로 확산되어 갔는데, 노론의 湖論을 제외하면 비록 차이가 있으나 모두 개방적인 학문자세와 사상의 유연성, 예술의 독립성을 추구하려는 부류에 의해 선택된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이 흐름에 이어 18세기 말에는 漢宋折衷論에 기반을 두고 한중교류를 함으로써 翁方綱과 교유가 이루어졌고 소식 및 그와 관련된 작품이 새롭게 조선에 유입되었다. 이로써 東坡熱이 19세기에 시작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recognition and preference tendency for Su Shi(蘇軾) and embracement of his calligraphic styl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17th to 18th century, through three aspects including appearance of confucian scholars, factional ideologies, and art theory. Su Shi had been admired since the late Goryeo Dynasty, while artworks regarding him had been still attracted and produced during the Joseon era. A difference existed, however, depending on the period. The 15th century and early 16th century has seen a similar trend with the late Goryeo on the whole. In the late 16th century, meritorious elites who were the dominant group around the king, headed for downfall as neo-Confucian literati emerged. Based on neo-Confucianism, the literati used to derogate Su Shi in view of the fact that Su Shi favored Buddhism and Taoism and politically confronted with Cheng Yi(程頤), the founder of neo-Confucianism, which continued for the rest of the Joseon Dynasty. Meanwhile, Bugin(Northerners’ faction), one of the four political parties of Korea, had a penchant for Su Shi, while accepting philosophy of Northern Song Dynasty such as Xiangshu xue(象數學) and caring for Buddhism, Taoism, and Yangmingism(陽明學). They later transferred to Namin(Southerners’) and Seoin(Westerners’) even after dismantlement of factions and managed to keep their ideology and artistic disposition, which played a pivotal role to maintain a favor for Su Shi and related artworks. This tendency was once withdrawn due to dominance of Seoin faction since King Injo’s restoration of 1623. However, it appeared to expand with a wide variation since ideologies were firmly established in the middle of factional division and reorganization in the late 17th century. In particular, both Namin inclined to Bugin who belonged to Gyeonggi Namin and scholars setting foot in Noron as well as Soron manufactured statue of Su Shi and employed Su Shi calligraphy, extending tendency to yearn for Su Shi. In the early 18th century, Soron took the lead in prevalence of Dongpo ti(東坡體), while they placed emphasis on a mind and heart learning(心學) and acknowledged Yangmingism. The late 18th century witnessed part of Nangnon(洛論) scholars from Noron who imposed the argument of the sameness between human nature and material nature(人物性同論) to maintain the tendency for Learning of the Way(道學) Bugin were the first confucian scholars to adore Su Shi, which extended to other factions except Horon(湖論) scholars from Noron, resulting from open-minded learning attitude and ideological flexibility. This current continued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s Korea and China established a tie based on eclecticism between Han and Song school, followed by association with Weng Fang-gang. Then, new Su Shi’s calligraphic trace was introduced to Joseon. In the end, Dongpo syndrome(東坡熱) was formed in the 19th century.

목차

Ⅰ. 논의의 관점
Ⅱ. 상반된 이해
Ⅲ, 소식의 再現
Ⅳ. 재도론의 균열과 동파체의 수용
Ⅴ. 19세기 東坡熱의 준비 : 한송절충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권. (2018).조선후기 문화변동과 蘇軾의 이해 - 서화를 중심으로 -. 동국사학, 64 , 379-417

MLA

김현권. "조선후기 문화변동과 蘇軾의 이해 - 서화를 중심으로 -." 동국사학, 64.(2018): 379-4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