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울진지역 태실에 관한 시고

이용수 46

영문명
The first study on taeshils of uljin region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심현용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57집, 157~19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태실이란 왕실에서 자손이 태어나면 의식과 절차를 거쳐 태를 묻은 시설을 말한다. 태는 태어난 아기의 생명선이며 근원이 된다고 하여 예로부터 소중하게 다루어졌다. 특히 왕실에서 아기가 태어나면 그 태를 소중하게 취급하여 길지를 골라 태실을 만들어 안태하였다. 태를 봉안한 최초의 문헌기록은 『삼국사기』로서 신라 때 김유신의 태를 묻었다고 한다. 신라이후 고려시대 왕실에서 태 봉안의식이 성립된 후 조선시대까지 그 맥락이 이어진 오랜 전통을 가진 제도라 하겠다. 이런 태실이 울진지역에서 필지에 의해 1997. 12부터 2000. 7까지 약 2년7개월간이라는 조사기간을 통해 신래태실, 나곡태실, 화구태실과 절태봉 등 4곳이 확인되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각 태실의 주인공과 그 유물의 실체를 밝혀 보았다. 신래태실은 그 동안 행방조차 파악되지 않던 태지석, 태호, 조선통보의 유물을 모두 찾게 되었으며 조선 성종 17년(AD1486) 12월6일 오후9~11시 사이에 태어나 다음해 4월7일 오전11-오후1시 사이에 장태한 성종의 아들인 견석왕자의 태실로 밝혀졌다. 나곡태실은 도굴되었던 태지석의 명문도 밝혀졌으며 이 태실은 조선 광해군 11년(AD1619) 6월23일 오후9~11시 사이에 태어나서 그해 11월4일 오전9~11시 사이에 장태한 광해군의 딸 태실이다. 화구태실은 신라시대 왕자의 태실로 구전되어 오는데, 풍수지리적 여건으로 보아 태실임이 분명하나 더 이상의 태실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가 없었다. 절태봉도 태실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태실에 대한 연구가 조선왕실의 장태처리에 관한 귀중한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진행되고 있지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울진지역에서 발견된 태실들은 태실제도를 규명하는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aeshil means the facility where tae is buried through appropriate rituals and procedures when a descendant of royal family is born. Tae has been taken care of very carefully from old times being considered as lifeline and origin of the owner. Especially, royal families, when a baby is born, took care of the tae very carefylly. They selected an auspicious place to make taeshil in, where they kept the tae. The first written record of enshrinement of tae appears in Samguksagi(History of three kingdoms: 三國史記), which records that Kim Yu-Shin s tae was buried during Shilla dynasty. The Tae enshrinement is a long time ritual. After Shilla, during Koryo dynasty tae enshrinement ritual was established, which was passed along to Joseon dynasty. After 2 years and 7 months of examination, from December 1997 to July 2000, I have confirmed 4 places of Taeshil, which are Shillae, Nagok, Hwagu and Jeoltaebong in uljin region(蔚珍). In this paper, on this point of view, I have revealed owner and relics of each Taeshil. About Shillae Taeshil(辛來胎室), I found the relics of Taejiseok(a stele), Taeho(a jar to put tae in), Joseontongbo(a coin during joseon dynasty), and also found out that it is the taeshil of Prince GyeonSeok of King SeongJong. The prince was bom on December 6, 1486(AD), in 17th year of King SeongJong s rule at 9-11 o clock in the afternoon and his tae was buried on April 7, the next year at between 11 o clock in the morning and 1 o clock in the afternoon. About Nagok Taeshil(羅谷胎室), the Taejiseok is lost, but I found out the inscription on it. This one belongs to the daughter of King Gwanghaegun, who was born June 23. 1619(AD), in 11th year of the King s rule, at 9-11 o clock in the evening, and her tae was buried on November 4 in the same year at 9~11 o clock in the morning. Hwagu Taeshil(花邱胎室) is orally transmitted to be that of a prince of Shilla dynasty. The location and surroundings considered, it is believed for sure to be a taeshil, but I could not find any more clue. Jeoltaebong is also presumed to be a taeshil.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울진지역 소재 태실(도면1)
Ⅲ.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현용. (2001).울진지역 태실에 관한 시고. 고문화, 57 , 157-194

MLA

심현용. "울진지역 태실에 관한 시고." 고문화, 57.(2001): 157-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