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늑도에서 출토된 탄화곡

이용수 67

영문명
Carbonized grains excavated at Nook-Do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허문회,서학수,이재현,안성희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57집, 25~3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산대학교박물관 팀이 서기2000년에 경남 사천시 늑도의 AD3세기 주거지를 제2차로 발굴하였는데 거기서 출토된 탄화곡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밀(小麥 Triticum aestivum) 180톨, 보리(大麥 Horudeum vulgare) 4톨, 쌀(米 Oryza sativa) 6톨이 물체질로 수습되었다. 밀은 훼손된 것이 많고 현재의 재배종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고 둥글다. 보리는 현재의 재배종과 거의 비슷하였다. 쌀은 지금의 재배종보다 소형이었는데 유전적으로 소형이었는지 도정과정이나 또는 땅속에서 미생물의 침식으로 소형으로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쌀의 외형은 세장한 indica는 아닌 것 같이 보였다. DNA 분석 결과는 밀, 보리, 쌀 모두 공시된 시료(粒)간에도 변이가 있고 각각의 재배종과도 차이가 있어서 이들 재배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이 짐작된다. 쌀의 유전적 구성 검토결과는 시료와 primer의 제한으로 japonica인지 indica인지 확정할 수 없었다.

영문 초록

Carbonized wheat(Triticum eesiivum), barley(Ho겨deum vulgare) and rice (Oryza sativa) grains were excavated at the AD 3C. old site in Nook-Do Kyungsang-South province. By the sieve floating method 180 grains of wheat. 4 grains of barley and 6 grains of lice were saved. The wheat grains were round and smaller than current wheat cultivars, barley showed almost same appearance with current barley cultivars, and the rice grains looked much damaged at the surface. Therefore it was unable to distinguish that those grains were buried as milled rice or brown rice. Grain shape was not slender and looked like japonica rice. DNA analysis revealed that the genetic make up of those wheat, barley and rice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ier current cultivrars and showed some variances among grains implying some heterogeneity of their population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문회,서학수,이재현,안성희. (2001).늑도에서 출토된 탄화곡. 고문화, 57 , 25-39

MLA

허문회,서학수,이재현,안성희. "늑도에서 출토된 탄화곡." 고문화, 57.(2001): 25-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