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성 화곡리출토 고려도기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3

영문명
A Study on Koryo Earthenware Production method through excavated from Hwakok-ri, Ansung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서재인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57집, 195~21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려도기가마가 위치한 안성시일죽면 화곡리 산 1번지는 고려시대 초에 죽주였다가 11세기 초반인 현종18년 (1018)에 광주목에 속하여 고려말기까지 이어졌다. 고려의 지방제도를 살펴보면 도자기와 관련된 곳으로 소(所)를 들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와소(互所)와 자기소(資器所)가 있었다고 한다. 송나라사람 서긍의 『선화봉사고려도경』의 기명(器皿)조에는 와(瓦)와 도(陶)가 나오는데 瓦는 기와와 도기를, 陶는 청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화곡리가마터도 瓦所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발굴조사된 도기가마 l구는 동남향의 산언덕에 위치한 지하식 단실 가마로 총길이 7m이며 좌측에 도기폐적물이 있.다 출토되는 도기는 그릇의 단단함의 차이에 따라 경질도기와 연질도기로 구분된다. 한 가마 안에서 경질도기와 연질도기가 출토되는 것은 각각 소성온도를 달리해서 제작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연질도기와 경질도기는 단실 요에서 환원염소성으로 굽다가 아궁이와 연도를 인위적으로 폐쇄하여 산소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솔가지 등을 태워 불완전연소에서 생기는 연기(탄소)를 표면에 흡착시키는 꺼먹이소성법으로 제작되었다고 보여진다. 도기의 기종은 경질도기의 경우 구경 l0㎝~20㎝의 호와 구경 20㎝~30㎝의 호, 병, 반구병, 매병등이 출토되며 연질도기는 구경 l0㎝~20㎝의 소호, 자배기, 시루등이 출토된다. 도기의 제작시기는 출토되는 매병편과 반구병편으로 고려시대임을 알 수 있다. 제작방법은 옹기성형방식인 타날법과 썰질법으로 제작되었다고 보여진다. 釉는 경질도기에서만 보이고 연질도기에는 釉가 없다. 경질도기의 경우 釉가 없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釉가 있는 경우는 ①병이나 호의 구연부에 녹색발색이 나는 유층이 두꺼운 것이 있으며 인공시유로 보여진다. ②회청색 기외면에 회녹색, 회갈색 유가 일부 밟게 퍼져있는 경우가 있다. ③기벽이 얇은 호등의 어깨부위에 얇게 퍼져있는경우로 자연유로 보인다. ④회녹색, 회흑색 유면위에 검녹색, 진녹색 유가 덧씌워져 있거나 회청색 기면위에 검녹색,진녹색유가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다. 연질도기는 꺼먹이 소성법에 의한 검댐이 입혀진 경우와 안 입혀진 경우가 있다. 검댐이 입혀진 경우에는 ① 기외면이나 기내ㆍ외면에 입혀진 경우가 있고 ② 일반적으로 출토되는 연질도기보다 경도가 강한 형태로 검댕을 입힌후 물레회전방향으로 마연한 경우가 있다. 안성 화곡리가마는 고려도기의 제작방식을 알려주는 중요한 유적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ne kiln site of Koryo Earthenware in Hwakok-ri, Ansung was excavated from March 15, 1999 to May 15, 1999 by Museum Team of Ehwa Women s University, and also other one earthenware kiln site was confirmed as exposed figure on the groun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review and examin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Koryo Earthenware kiln site in Hwakok-ri, Ansung together with its prcxiuction methcd. San 1. Hwakok-ri, Iljuk-myon, Ansung-kun where the Koryo Earthenware kiln site is located was belonged to Jukju of Koryo Dynasty. According to History of Koryo and Saejong Jangheon Daewang Silrok(Authentic Record) . itwas Jukju in eary time of Korea Dynasty, but in 1018(Hyunjong 18 years), it was belonged to Kwangju-mok and it was continued until end of Koryo Dynasty. As the remains related to Jukju, there is Koryo Ancient Tombs in Jwahang-ri, Weansam-myon, Yongin City. In the review of the local system of Koryo Dynasty, there was so(place) which was related to the earthenware. According to Shin Jung Dongkuk Yeojiseungram . there was a tile kiln and porcelain kiln. We can find out the tile and porcelain in the tableware part of Sunhwa Bongsa Koryo Dokyung wtitten by Seokung of Song Dynasty, here the porcelain meant the celadon porcelain and the tile meant the roof tile and earthenware and provided it as a public imposts earthenware. Excavated and examined one earthenware kiln site was located in a basement single room facing east-south small mountain hill and its length was 7m and on left side, there was a disinhetitated waste earthen wares. The earthenwares excavated from the earthenware kiln and the inheritated waste earthenwares seemed to very similar figure. Excavating earthenware can be classified as hardened earthenware and soft earthenware according to its hard degree. The soft earthenware in this study means the unglazed earthenware figure and earthenware figure which has scratching part when itis scratched in 700℃ -1000℃ of plastic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hardened earthenware means that it has metal sound when it is hit in 1200℃-1300℃ of plastic temperature. The reason of excavation of both hardened earthenware and soft earthenware were found in a kiln is its production at different plastic temperature respectively. In the hardened and soft earthenware, making fire as reducing chrolic nature in the single room, then closing the fireplace and smoke pipe artificially for temporary stop of oxigen supply, and in this oxigen cutting condition, bum the pine twigs etc. and absorpts the produced smoke (carbon) from the incomplete combustion and it may be produced as black color plastic method. The soft earthenware was excavated as black soot covered status, and the hardened earthenware has gray-blue and gray-brown color, therefore we can know that the earthenware of Koryo Dynasty was produced through such carbon coloring black color plastic method. In case of hardened earthen ware, the type of earthen wares are as follow: 10㎝ - 20㎝ of arc type. 20㎝- 30㎝ diameter arc type. Byung, hemisphere type and Maebyung etc. were excavated, on the other hand, in casse of soft earthenware, there are l0㎝-20㎝ of small arc, a round and large pottery bowl and an earthen steamer etc. The production time of the earthenware may be Byungpyun . As the production method seemed look Tarnal method and seoljil method as the pottery with dark brown plaze form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제작배경
Ⅲ. 가마와 소성법
Ⅳ. 출토 경질도기와 연질도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재인. (2001).안성 화곡리출토 고려도기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고문화, 57 , 195-210

MLA

서재인. "안성 화곡리출토 고려도기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고문화, 57.(2001): 195-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