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PEP 개발과 운영 연구

이용수 88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EP for the activation of education program in the University museum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장대훈,김선향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81집, 151~17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PEP(Prehistoric Experience Programs), 즉 선사체험프로그램은 전문적인 고고학 지식을 기반으로 한 전문연구자들과 그것에 참여하는 지역주민들과의 융화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선사체험을 주제로 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지역주민들의 문화의식과 이해를 높이고, 박물관 전문인력 창출, 건전한 아마추어 고고학자들을 양성하는 데 좋은 밑거름이 된다. 선사시대의 유물들과 유구, 그리고 문화에 대한 설명, 복원된 유물들(아이템)을 통해 보고 만질 수 있는 자유로운 환경과 프로그램 구성은 체험객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 모두는 선사체험장 내에서 실현가능하며, 이것은 곧 ‘야외박물관’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PEP의 본질적인 목적은 선사문화라는 주제를 가지고 체험을 통한 놀이과정과 대학교육에 기인한 학습과정의 조화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전시유물과의 연계성이다. 연계성을 통한 전시와 체험, 교육, 그리고 이해에서 가져오는 선사시대 삶의 가치는 매우 크다. 박물관 전시품에 대한 대중적인 이해와 소개는 체험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가치가 발현된다. 특히 고고유물은 PI(Prehistoric Item : 선사아이템), 다시 말해 체험교구로 활용되어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PI는 박물관 전시유물에 대한 이해와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선사시대 문화를 오감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다. 한편으로 대학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은 독단적인 운영보다는 교육청, 관련기관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단일프로그램(박물관 자체)에 한정하지 않고 복합체험프로그램 시스템을 확충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산, 재원, 인력에서는 교육청 및 자치단체 등 컨소시엄 형태의 모델링 사업을 추구하여 대학박물관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도 좋은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University museums face social demand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public institutions. Nowadays, museums in Korea are operating various cultural events including education programs or education. However, what most curators agree on and point out commonly is the lack of manpower, finances, and infrastructure, and among those, the most urgent problem is the lack of manpower. The public understanding and introduction of museum exhibits will lead to further value through experience programs. The relics used for experience learning can bring about clearer explanation and the value and understanding of cultural heritages. PEP(Prehistoric Experience Programs) that can be operated in university museums can be said to be the harmony between researchers equipped with specialized archaeological knowledge and local residents. In particular, prehistoric experience will enhance local residents cultural recognition and cultivate sound amateur archaeologists in that region. Also, it can be a good model to pursue popular archaeology. Experience festivals with prehistoric times as their theme are finding and utilizing basic items from archaeology. The purpose of PEP is to integrate the play processes using experience and archaeology and history with the theme of prehistoric culture. What is the most important is the connection with the relics that a museum has. The value of life in prehistoric times which brings exhibition and experienc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through connectivity can be said to be very great. Meanwhile, experience programs should be not operated by the university museum arbitrarily but must have connection through building the network with education offices or related institutions. About publicity, too, according to the network, it is needed to expand the complex system for the experience program. And regarding the budgets, finances, and manpower, it will be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university museums pursuing consortium types of projects by education offices or autonomous entitie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대학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운영
Ⅲ. 체험교육프로그램의 이해와 PEP의 기능
Ⅳ. PEP의 개발과 운영 그리고 효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대훈,김선향. (2013).대학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PEP 개발과 운영 연구. 고문화, 81 , 151-178

MLA

장대훈,김선향. "대학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PEP 개발과 운영 연구." 고문화, 81.(2013): 151-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