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暴力媒體에 의한 非行行動의 構造模型開發

이용수 7

영문명
Structural Model of Delinquent Behavior Influenced by Media Violence in Korea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김헌수 김현실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37권 제3호, 467~48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8.05.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설명, 예측하기 위하여 복합연합이론(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사회학 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및 문제행동이론(problem behavior theory)을 근거로 폭력매체와 비행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검정하여 수정모형을 구축한 후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수들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방 법:표본추출방법은 지역(서울-지방) 및 조사기관의 유형(중학교, 고등학교, 소년원, 분류심사원)을 함께 고려한 비례층화표본추출법을 적용하였으며 총연구대상자는 1,943(비행청소년:707, 학생청소년; 1,236)이었으나 설문지 응답에 있어서 완벽하게 반응 안한 1,406명은 제외하였다. 따라서 실제 연구대상자 는 537명(비행청소년 217명, 학생청소년:3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는 설문지법과 면담법, 학생생활 기록부, 기타 재원 생활기록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구조모형(LISREL 7.16)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연구에서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설명하는 내생변수는 욕구충족 / 좌절정도, 사회성성향, 반사회적 성격양상,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 우울성향 및 폭력매체요인 등이 포함되었으며 외생변수로는 가정 역동적 환경변수를 설정하였다. 이들 이론변수에 대한 측정변수는 모두 18개이다. 결 과:가설적 모형설정 단계에서는 연구변수들간의 가능성있는 인과관계를 모두 설정하여 포화모형이 이루어졌으나 p값이 0.05이상의 beta값을 보여 변수간의 인과관계에 의미가 없는 변수는 제거하거나 의미 없는 통로는 폐쇄하였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하여 가설적 모형에 비하여 적합도와 간명도가 보다 개선된 수 정모형을 형성하였다. 수정모형에서 제시한 결과를 보면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가장 큰 직접적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은 폭력매체 요인이었으며, 총체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가정역동적 환경요인이었다. 결 론: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폭력매체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고 폭력장면을 모방하 고 싶은 충동이나 실제 모방횟수가 많을수록 비행(범죄)행동을 많이 하였고 가정환경이 불안정할수록 청소 년들은 그들의 가정에서 파생된 욕구좌절이나 정신신체증상을 텔레비젼, 라디오, 영화, 만화, 비디오 등과 같 은 매체를 통해서 결국 비행행동화의 경로를 밟았다. 따라서 폭력매체 요인은 청소년들이 비행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뿐만 아니라 가정환경이나 청소년 개개인의 성격특성들에 의해서 영향받아 비행행동을 유발하는데 매개적 역할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to build up of final modified model for explaining juvenile delinquency by media violence. Method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537 respondents including 217 delinquent adolescents and 320 student adolescents in Korea using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A total of 18 instruments were used to operationalized concepts in this model.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as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It was found that media violence served as the most direct contributor to juvenile delinquency.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d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ling impulsiveness and model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they showed the more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e single most powerful contributor by total(direct+indirect) effect to the development of delinquent behavior identified in this study was the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d the more unstable family dynamic environment, consequently they behaved the higher misconduct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media violence. Conclusions:The authors recommended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 against delinquent behavior influenced by media violence among Korean adolescents.

목차

Introduction
Method
Hypothese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헌수,김현실. (1998).暴力媒體에 의한 非行行動의 構造模型開發. 신경정신의학, 37 (3), 467-482

MLA

김헌수,김현실. "暴力媒體에 의한 非行行動의 構造模型開發." 신경정신의학, 37.3(1998): 467-4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