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아에서 주의력 과제와 관련된 대뇌의 기능적 국소화

이용수 71

영문명
Cerebral Functional Localization Related to Attentional Work in Pati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신동원 송동호 전덕인 남궁기 이만홍 이홍식 민성길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38권 제5호, 1089~110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는 주의력에 결함이 있는 장애이다. 주의력에 주로 관여하는 부위는 전두엽과 두 정엽으로서 이전 연구에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전두엽과 두정엽의 이상에 대하여 보고되어 왔으나, 대부분 안정상태에서 정상인과 비교한 연구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가 주의를 요 하는 과제를 실행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의 양상을 정량화 뇌파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활성화 양상에 있어 정 상인과의 차이점을 확인해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주의력 결함과 관계된 뇌의 국소적 병태를 밝히고 자 하였다. 또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의 치료제인 methylphenidate를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에 게 투여하여 주의력 과제 중에 활성화되는 뇌 양상의 변화를 알아보고, 치료제가 주의력을 높이는 기전에 대 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방 법: 연구 대상자는 환자 20명, 정상인 20명으로 총 40명이었다. 두 군은 성별, 나이, 손잡이, 지능에 있어서 차이가 없도록 선발되었다. 정상인은 안정 상태와 주의력 과제를 실행하는 동안 정량화 뇌파를 측정하였다. 환 자군은 methylphenidate를 투여한 상태와 투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 안정 상태와 주의력 과제를 실행하 는 동안 정량화 뇌파를 측정하였다. 결 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중력 검사상, 정상대조군이 투약 전 환자군에 비해 목표자극에 대한 정반응 시간과 목표 자극에 대한 정반응 시간의 표준편차에 있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여 집중력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군은 누락 오류, 목표 자극에 대한 평균 정반응 시간, 표준편차에 있어 투약 전에 비해 투약 후에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얻어, 투 약 후 집중력이 유의하게 호전됨을 확인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투약 후 환자군 사이에 집중력 검사상 차이는 없었다. 2) 안정상태에서 얻은 정량화 뇌파의 모든 파 영역에서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뇌파의 전위가 증가해 있었다. 3) 정량화 뇌파의 delta 파 영역에서 뇌파를 분석한 결과, 정상 대조군의 경우, 주의력 과제 중에는 안정상태 에 비하여 두정-후두엽 부위의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환자군에서는 주의력 과제 중에 유의하게 전위 가 증가하는 부위가 없어, 국소화한 뇌 활성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4) Theta 파 영역에서, 정상 대조군의 경우, 주의력 과제 중에는 안정상태에 비해 우측 전두엽, 우측 측두엽, 양측 두정-후두엽 부위에서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환자군에서 투약하기 전에는 유의하게 증가하 는 부위가 없었다. 환자군에서 투약 후에는 우측 전두엽, 우측 측두엽, 양측 두정-후두엽 부위에서 유의하게 전위가 증가해, 정상 대조군과 유사한 뇌활성도의 변화 양상을 보였다. 5) Alpha 파 영역에서, 정상 대조군의 경우, 주의력 과제 중에는 안정상태와 비교해 두정-후두엽 부위만이 유의하게 뇌파가 증가하는 반면, 투약하지 않은 환자군의 경우 광범위한 부위에서 유의하게 뇌파가 증가하여 뇌 활성 변화 부위가 국소화되지 않았다. 6) Beta 파 영역에서, 정상 대조군의 경우 안정상태에 비해 주의력 과제 중에는 좌측 전두엽과 Cz 부위만 이 유의하게 전위가 증가하는 반면, 투약 하지 않은 환자군의 경우 거의 모든 뇌부위에서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 해 뇌의 활성 변화 부위가 국소화되지 않았다. 투약한 후에는 좌측 전두엽과 양측 측두엽의 뇌파가 유의하게 증가해 국소화한 뇌 활성 변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는 안정상태에서 정상인과 비교해 뇌파상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 정 상인의 경우, 공간 자극에 관계된 주의력 과제 실행시 주로 전두엽과 두정-후두엽이 활성화되었으나 주의력결 핍 과잉운동장애 환자는 국소적인 뇌활성화에 실패하였다.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주의력 결함은 전두 엽과 두정-후두엽 부위의 병태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e attentional deficit is a core symptom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major brain areas related to attention are frontal and parietal lobes. Abnormalities of frontal and parietal lobe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ve been reported in previous researches. But, most of the researches are based on comparing patients and controls while they are in resting condition. Further research on funtional changes related to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is needed to understand the attentional dysfun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his study, the localized functional changes of the brain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in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he differences of them between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were examined. Also the effect of the methylphenidate on functional change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in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as examined. Method: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QEEG) was applied to examine the fuctional change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0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20 controls who were matched age, sex, handedness, intelligence. QEEG was recorded on eye open resting condition, and on performing computerized attentional task. In cases of patients, after taking of methylphenidate, QEEG was recorded on both conditions. Results: 1) In attention test, normal controls had better scores in response time and variabilities of response time than those of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out taking methylphenidate. After taking medication, scores of omission, response time and variabilities of response tim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ing to scores without taking medication. No differences were recognized between the controls and patients with taking medication in scores of attention test. 2) In resting condition, spectral EEG revealed baseline activity levels of pati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to those of controls. 3) Analysis of delta wave revealed that amplitudes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parietooccipital area during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But in patients, localized activated area related to attentional task was not remarkable. 4) Theta activity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right frontal, right temporal, and both parieto-occipital areas during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But in patients without taking medication, localized activated area related to attentional work was not remarkable. After taking medication, right frontal, right temporal, and both parieto-occipital areas were significantly activated. 5) Alpha activities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rieto-occipital area during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but those of patients without taking medication were increased in broad area. 6) Beta activities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frontal area during attentional performance, but those of patients without taking medic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ost of the brain areas. After taking med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itie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were recognized in left frontal, and both temporal areas. Localized activated patterns similar to those of controls were recognized. Conclusion: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ve increased baseline brain activity. In controls, brains showed localized response to a attentional stimuli, and functional changes related to attentional stimuli were recognized in frontal, and parieto-occipital areas. But, patients faile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동원,송동호,전덕인,남궁기,이만홍,이홍식,민성길. (1999).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아에서 주의력 과제와 관련된 대뇌의 기능적 국소화. 신경정신의학, 38 (5), 1089-1101

MLA

신동원,송동호,전덕인,남궁기,이만홍,이홍식,민성길.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아에서 주의력 과제와 관련된 대뇌의 기능적 국소화." 신경정신의학, 38.5(1999): 1089-1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