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판 증상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이용수 50

영문명
Initi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ymptoms Questionnaire-Korean Version(SQ-K)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최윤경 김지연 김용구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41권 제2호, 309~32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3.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Kellner(1987)의 증상질문지는 정신과 외래 환자들이 흔히 호소하는 4개의 증상, 즉 우울, 불안, 분노 및 신체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환자들이 질문지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 료 효과와 약물 반응을 민감하게 측정한다. 따라서 임상장면 뿐만 아니라, 연구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ellner의 증상질문지를 번안하여 정상인과 환자집단에 실시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봄으로써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그 유용성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정신과 전문의 2인, 임상심리전문가 1인이 Kellner의 증상질문지를 각자 번안한 후, 회의를 거쳐 3 인이 모두 합의한 것을 최종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이 질문지와 함께, BDI, STAI, SCL-90-R 등을 대학생 103명(남 42명, 여 61명), 정신과 외래환자 167명(남 59명, 여 108명)에게 실시하였다. 정신 과 외래환자는 기분장애 76명, 불안장애 44명, 신체형장애 47명으로 구성되었다. 결 과: 대학생에게 증상질문지를 2주 간격으로 실시했을 때, 각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51∼.65이 었고 2주동안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우울, 불안, 분노 및 신체화 척 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각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68∼.80의 범위였으며, 기존의 다른 척도들과 비교적 타당한 상관패턴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신과 환자집단은 대학생 집단에 비해 우울, 불 안, 분노 및 신체화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 론: 증상 질문지의 4개의 척도는 비교적 만족할만한 내적 합치도, 준거관련 타당도 및 변별 타당도를 나타내었 다. 또한 각 척도 점수가 스트레스에 민감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증상질문지가 특성보다는 상태를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임상장면에서 치료효과나 약물 반응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Kellner(1987)’s Symptom Questionnaire(SQ) consists of 4 scales, i.e. depression, anxiety, anger-hostility, and somatic scales. The SQ can be administered and scored by a lay person with brief training. In addition to the use for the self-rating of distress in research, the SQ can be a checklist in clinical practice. The SQ has been validated in translations in Korean. This paper is to test the initi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ymptom Questionnaire-Korean version(SQ-K). Method:The SQ-K and other self-report scales(i.e. BDI, STAI, STAXI, & SCL-90-R) were administered to college students(n=103) and psychiatric patients(n=170) including 76 with mood disorders, 47 with anxiety disorders, 27 with somatoform disorders, and 20 with Hwabyung patients. Results:The test-retest coefficients of stability over a 2-week period ranged from .46 to .65 in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The SQ-K and subscales have good internal consistency, with an alpha ranged from .70 to .90. and good criterion-referenced validity. The SQ-K discriminated between college students with and without stress, psychiatric patients and college students, and among depressive, anxious, and Hwabyung groups. Conclusion:The SQ-K is a tool for state measurement, and it is quite sensitive to chang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translations are valid and sensitive scales of distress, and it can be used effectively in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as the original i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경,김지연,김용구. (2002).한국판 증상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41 (2), 309-321

MLA

최윤경,김지연,김용구. "한국판 증상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41.2(2002): 309-3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