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보고식 해밀턴 우울척도의 문항특성

이용수 157

영문명
Item Characteristics of the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Self-Report Inventory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김창윤 고진경 노은여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41권 제5호, 905~911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문항 반응 이론에 따른 문항분석을 통해, 우울증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자기보고식 해밀턴 우 울척도의 타당성과 척도상의 각 문항이나 증상이 우울증의 심각도(severity)를 반영하는 정도를 파악 하고자 한다. 방 법: 우울증으로 내원한 환자 11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해밀턴 우울검사를 시행하였고, 윈도우용 Bayesian 1.0 프로그램을 통해, 2모수 로지스틱 모델로 문항분석을 시행하여,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 도 및 각 피험자의 우울증 정도를 산출하였다. 결 과: 1) 전체 76개의 문항중 10개의 문항이 추정오차가 큰 편으로 우울증의 심각도를 평가하는데 적합 하지 않은 문항으로 구분되었다. 2) 각 차원을 구성하고 있는 나머지 66개의 문항들은 우울증의 정도가 낮은 수준에서 심한 수준에 이르기까지 고르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죄책감, 체중감소 등의 하위척도는 문항의 난이도가 매우 높은 문항으로 구성되어, 우울 수준이 심각한 피험자들만 긍정적인 반응을 할 것이며, 이에 비해 역할 수행과 활동 하위척도는 우울 수준이 높지 않은 피험자들도 쉽게 긍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 론: 해밀턴 우울 척도의 각 문항이 피험자의 우울 심각도를 반영하는 정도는 각기 다르며, 따라서 각 문항의 난이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주어 총점을 산출하는 것이 피험자의 우울 정도를 나타내 는 지수로 적합함이 입증되었다. 또한, 각 문항이 피험자의 우울의 심각도를 반영하는 정도가 다름으 로 치료에 따른 우울상태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문항을 선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psychometric adequacy of the Hamilton Depression Scale-Self-Report(HAMD-Self-report) with respect to the measuring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 by the use of item-response models(two parameter logistic model). Methods:114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as diagnosed by DSM-IV criteria were studied. All depressed patients were aged 22 years or older, with the mean age of 33. They were requested to fill up the questionnaires of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Self-Report. The data was analysed by Bayesian 1.0 for windows for item analysis. Results: 1) Of the 76 items that consist of HAMD-Self-report, only 66 fitted the Item response model. 2)The 66 items reflected the degree of depression necessary for each symptom to shift from ‘low intensity’ to ‘moderate intensity’, and from ‘moderate’ to ‘high intensity’. 3) The subscales of feeling of guilty and weight loss were mainly consisted of items with high item severity. Therefore only the severely depressed subjects may response. The subscale work and activities was made of items with low item severity, and the subjects with much less severe may response. Conclusion:The 66 items that were fitted to the item response model represented the different level of depressive severity. By weighing each item differently with respect to the symtom severity parameter(item severity), each item on the subscales represents a different level of depressive severity. Therefore the total score computed by summing responses to the highest weighted item of each scale can be used as an adequate index of depressive severity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윤,고진경,노은여. (2002).자기보고식 해밀턴 우울척도의 문항특성. 신경정신의학, 41 (5), 905-911

MLA

김창윤,고진경,노은여. "자기보고식 해밀턴 우울척도의 문항특성." 신경정신의학, 41.5(2002): 905-9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