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皇南大塚 南墳과 新羅古墳의 編年

이용수 1343

영문명
Chronological discussion of Silla tombs focused on the Southern tomb of Hwangnam Great Tomb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두철(Doochul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80집, 63~10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皇南大塚 南墳을 중심으로 신라고분에 대한 기존의 편년관을 검토한 글이다. 황남대총은 경주 중심지고분군에 있는 3기의 초대형급 무덤 중의 하나이다. 무덤의 규모나 구조 및 부장유물에서 앞 시기와는 획을 긋는 무덤이다. 이에 이 고분을 왕릉으로 간주하고, 기존의 필자 연대관에 따라 무덤 주인공을 눌지마립간으로 적극 비정함으로써, 신라고분 편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필자의 논거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남분 출토유물, 특히 토기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인식에서 출발한다. 논의 진행은 먼저 남분 이전 단계로서, 新羅土器에 대한 인식문제를 중점으로 살피고, 福泉洞 21・22호, 10・11호분 과 月城路 가-13호분의 토기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기존 편년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남분 출토 토기의 혁신성에 주목하였다. 최상위 무덤인 남분에서 출토된 二段交互透窓高杯가 모두 ‘2단각’으로 되어있고, ‘대각축소형꼭지’가 붙은 뚜껑을 사용하며 ‘다양한 문양이 시문’된 것을 혁신적 변화의 결과로 보았다. 이러한 요소는 경주의 중심지고분에서 주로 채용하고 주변지역은 그 친소관계에 따라 수용에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기존 신라고분편년에서의 ‘3단각 → 2단각’을 기조로 한 편년 설정법과 그에 따른 소위 황오동 14호분, 황남동 110호분의 단계론을 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금속유물을 통해서 복천동 10・11호분과 황남대총 남분 사이에 놓인 획기성과 연속성을 살펴 연대 문제를 보완하고, 동시에 남분의 혁신성을 강조함으로써 신라고분 편년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나타내고자하였다.

영문 초록

This is a paper examined the existing chronological viewpoints of Silla tombs focused on the Southern tomb of Hwangnam Great Tomb. It is one of the biggest three tombs located in centre tombs of Gyeongju. It is an epochal tomb in size, structure and grave goods. As this belongs to a royal tomb, I define it Nulji Malipgan’s according to my existing chronological viewpoint. I also indicate subjects of chronology of Silla tombs and presented my grounds of arguments. It begins with a new viewpoint and a cognition of grave goods excavated from this tomb, especially potteries. First, I consider cognitive state of the Silla pottery of a stage before this tomb. I also indicate the problem of existing chronological viewpoints by comparing potteries of No.21・22, 10・11 of Bokcheon Dong with potteries of No. Ga-13 of Walsung Ro. Second, I focus the innovative character of potteries of the Southern tomb. I consider that mounted dishes with double cross windows from this tomb which belong to the uppermost class tomb are all double-tier bases and are made a set with lids attached ‘base miniature knob’ and are decorated with various patterns are the result of innovative change. These factors are adopted to the centre tombs of Gyeongju mainly, and there seems to be differences in acceptance according to relative degree of intimacy in the suburbs. I deny the chronological determination based on the cognition of change ‘from the triple-tier base to the double-tier base’ and the stage argument that there is a gap between No. 14 of Hwango Dong and No.110 of Hwangnam Dong. Finally, I complement the chronological argument considering innovative character and continuity between No. 10・ 11 Bokcheon Dong and the Southern tomb of Hwangnam Great Tomb through metal artifacts. I also indicate a new recognition about the chronological viewpoint of Silla tombs by emphasizing innovative character of the Southern tomb.

목차

Ⅰ. 머리말
Ⅱ. 積石木槨墓 成立期의 編年問題
Ⅲ. 皇南大塚 南墳과 二段脚 高杯
Ⅳ. 皇南大塚 南墳의 編年과 位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두철(Doochul Kim). (2011).皇南大塚 南墳과 新羅古墳의 編年. 한국고고학보, 80 , 63-102

MLA

김두철(Doochul Kim). "皇南大塚 南墳과 新羅古墳의 編年." 한국고고학보, 80.(2011): 63-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