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部地方 粘土帶土器 段階 聚落 構造와 性格

이용수 514

영문명
The structure and nature of settlement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송만영(Manyoung S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80집, 29~6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의 중부지방 점토대토기 사회에 대한 이해는 재지 집단과 이주 집단 간의 갈등론, 그리고 재편론을 토대로 하고있다. 그래서 고지성 취락을 집단 간의 알력과 긴장을 반영하는 자료로 인식하는 한편, 이주 집단에 의한 재편을 통해 점토대토기 사회는 청동기시대 사회와는 다른 보다 광역의 지역적 통합이 이루어지고 본격적인 계급적 복합사회 수준으로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해할 경우에 점토대토기 단계의 취락의 입지 변화, 소형화, 분산화 경향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취락 연구를 통해 사회경제적 연결망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중부지방 점토대토기 사회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중부지방 점토대토기 단계의 취락은 1개의 주거군이 소형 취락을 이루며, 3~4개의 주거군이 결집되어 중형 취락을 이루기 때문에 청동기시대와 비교할 때, 단위 취락별 규모가 매우 축소되었다. 또한 소형 취락의 경우에는 상위의 주거지 1기와 다수의 하위 주거지 등 2단계로 계층화되어 있으며, 중형취락의 경우에도 소수의 상위 주거지와 다수의 하위 주거지 등 2단계로 계층화되어 있다. 점토대토기 단계의 지역공동체는 촌과 소촌이 결집된 촌락 수준으로 그 규모가 2~6km 내의 범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은 촌락의 횡적 경관은 고지의 제의 공간을 중심으로 구릉의 취락들이 결집된 것이며, 거시적으로는 고지의 제의 공간들을 연결하는 사회경제적 연결망이 점토대토기 단계에 형성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연결망은 청동기시대의 수계 중심의 연결망이 해체된 이후에 형성된 것이었지만, 청동기시대 중기 중반 이래의 대형 취락 해체와 더불어 취락의 소형화, 분산화 과정의 연장선상에 있다. 즉 생업경제 체계에서 농경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 때문에 대형 취락이 해체되면서 일시적이나마 해양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되고 좀 더 안정적인 생계 수단을 확보하기 위하여 농경과 수렵, 어로를 병행하는 혼합경제 체제로 전환되어 갔을 것이라 추측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초기철기시대의 획기는 특정 유물의 출현뿐만 아니라 생계경제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연결망의 재편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Previous understanding on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is based on opinions of conflict between existing settler groups and migration groups, and of reorganization by migrators. Therefore in previous scholarships settlement on highlands has been regarded as a material to reflect friction and tension among these groups. It has been also believed that the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accomplished more extensive regional unification than societies in Bronze age through reorganizing by migrations and improved as a legitimate hierarchical society. However this understanding can not explain location changes, downsizing and dispersion of settlements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investigating settlements in the perspective of changes of socio-economic networks. A group of houses became a small settlement and three or four groups of houses formed a middle-sized settlement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This means size of each settlement decreased comparing Bronze age. These settlements were classified in two groups: one top house and several lower houses at the small settlements, and a few top houses and several lower houses at the middle-sized settlements. It seems that local community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was in the level of village, chollak in Korean uniting hamlets, chon in Korean, which was composed of 14 to 18 houses and small hamlets, sochon in Korean, which was composed of 4 to 6 houses at this time. Size of the community was within 2~6km. Horizontal location of these villages was formed by combining settlements on hills with centering ritual places in heights. From a broad perspective, socio-economic networks, by which ritual places on highlands were connected, having been gradually formed since the Bronze Age were completed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This social economic networks were formed after networks centering water system in Bronze age were dissolved. However the social economic networks were also formed as a part of dissolution of bigger settlements and downsizing and dispersion of settlements. I think that as bigger settlements dissolved due to excessive reliance on agriculture, dependence upon resources from the sea temporarily increased and their economic system turned into the mixed one combining farming, hunting, and fishing. In this respect reorganization of social economic networks related to livelihood should be considered in demarcating the Early Iron Age.

목차

Ⅰ. 머리말
Ⅱ. 初期鐵器時代의 上限과 下限
Ⅲ. 聚落 構造와 階層化
1. 粘土帶土器 段階의 聚落 構造
2. 粘土帶土器 段階의 聚落 階層化
Ⅳ. 粘土帶土器 段階 聚落의 性格
1. 高地性 聚落의 性格
2. 粘土帶土器 段階 聚落의 系譜와 性格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만영(Manyoung Song). (2011).中部地方 粘土帶土器 段階 聚落 構造와 性格. 한국고고학보, 80 , 29-62

MLA

송만영(Manyoung Song). "中部地方 粘土帶土器 段階 聚落 構造와 性格." 한국고고학보, 80.(2011): 2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