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북아시아 철기문화의 전개와 限冶供鐵정책

이용수 624

영문명
The Policy of Limiting Steel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viding Ironware and the Advent of East Asian Iron Cultur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도영(Do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4집, 32~69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중국을 중심으로 발생한 제철기술이 한반도를 거쳐 일본열도로 전개되는 현상을 기술의 전파가 아닌 통제라는 관점에서 일관되게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철이 생산되기 이전에 등장하는 전국계 철기에 대해서는 문헌기록에서 확인되는 철의 전매제와 관련시켜 해석해 보았다.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등장하는 전국계 철기는 중국 정부가 고도의 기술로 제작해 유통시킨 것으로 자국의 경제적 이득과 상권의 보호, 주변 세력의 견제라는 다수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의미가 내포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책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주변 지역으로 제철기술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였을 것이다. 철의 전매제는 철 생산기술을 억제하는 대신 철기의 유통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限冶供鐵 정책과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낙랑군 설치를 비롯해 중국대륙과 한반도가 육지로 이어져 있다는 지리적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철 생산기술이 유출됨으로써 중국 정부의 한야공철 정책은 오랫동안 지속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철 생산을 기반으로 형성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 한반도의 諸 정치세력들은 서로 격심한 전쟁을 치르는 가운데도 왜를 대상으로 한야공철 정책만은 일관되게 고수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열도 내에서 자체 철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4~5세기대 한반도로부터 건너간 것으로 생각되는 철정과 칠지도, 철 방패 등 수많은 한반도제 철제품의 이면에는 한반도 내 존재하고 있던 철 생산기술을 왜로 유출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철로써 왜 세력을 견제한다는 삼국의 의도가 숨겨져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윽고 6세기 중엽 한반도에 존재하던 철 생산기술이 일본열도로 유출됨으로써 900년간 동아시아에 존재했던 한야공철 정책은 사라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서기 황극기 원년(642) 왜로부터 백제로 전해진 철정 20매는 동아시아에 존재했던 일본열도 내 철 생산과 동시에 한야공철 정책의 소멸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phenomenon of the emergence of iron in China, its develop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pread (via the peninsula) to the Japanese Archipelago from the perspective of chnological control, rather than the dissemination of technology. First, the Warring States ironware which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prior to the advent of iron production in both these regions is presumed to be related to Emperor Wu of Han(漢武帝)’s ‘salt and iron monopoly system’.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at of the ‘limiting steel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viding ironware’ policy which pursued economic interest through the distribution of ironware and the control of iron production technology. Namely, the Warring States or Han ironware which appeared in both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had been produced and sold by the Chinese government, with its advanced technology; the intention was to fulfill multiple purposes, such as economic benefit, protection of its commercial supremacy, and the containment of the surrounding forces. In order for the successful execution of this policy, they had to prevent steel technology from being leaked. However,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elang Commandery and the geographical condition in which the Chinese continent and the Korean Peninsula are linked by land, iron came to be produced even in the eastern zon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limiting steel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viding ironware’ policy of the Chinese government was soon discarded. Subsequently, the political powers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Goguryeo, Baekje, Silla and Gaya, which grew based on iron production, also implemented the ‘limiting steel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viding ironware’ policy against the Japanese. A number of iron artifacts dating to the 4th-5th century, when iron production had yet to take place in the Japanese Archipelago, have been found, such as iron nails, the seven-branched sword and iron shields. These artifacts illustrate the intentions of the Three Kingdoms to restrain Japanese forces using iron, but without leaking the technology of iron production.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the iron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found its way to the Japanese Archipelago, resulting in the Japanese production of iron. As a result, the ‘limiting steel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viding ironware’ policy, which had been in existence in East Asia for 900 years, finally disappeared. The 20 iron nails delivered from Japan to Baekje in the first year of Emperor Kogyoku’s reign (642 CE) marks the beginning of Japnese iron production and the extinction the ‘limiting steel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viding ironware’ policy.

목차

Ⅰ. 머리말
Ⅱ. 한반도·일본열도의 철기 등장 시기와 철 생산 시기
Ⅲ. 한야공철 정책과 중국제 철기의 의미
Ⅳ. 한야공철 정책의 전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영(Doyoung Kim). (2015).동북아시아 철기문화의 전개와 限冶供鐵정책. 한국고고학보, 94 , 32-69

MLA

김도영(Doyoung Kim). "동북아시아 철기문화의 전개와 限冶供鐵정책." 한국고고학보, 94.(2015): 3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