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공광구호의 등장과 발전과정

이용수 468

영문명
The Advent and Development of the Yookongkwangoo-ho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원해선(Haesun Wo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4집, 70~103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반도에서 유공광구호의 등장과 발전과정을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공광구호가 출토되는 지역을 한강유역권, 아산만권, 금강·만경강유역권, 영산강유역권, 남해안권, 낙동강유역권으로 구분하였고, 유공광구호가 가장 많이 출토된 영산강유역권은 소권역으로 세분하였다. 유공광구호는 口頸高와 口徑의 크기가 시간성을 잘 반영하고 있어서 이를 기준으로 10개 형식으로 분류하고 크게 3시기로 분기하였다. 1기는 Aa식 유공광구호가 중심이 되는 시기로 5세기 전·중엽에 해당한다. 영산강유역권에 속하는 황룡강·극락강지역의 생활유적에서 유공광구호가 등장하여 영산강유역권 전역과 주변지역으로 확산된다. 2기는 Ba식~Cc식이 성행하는 시기로 5세기 후엽~6세기 전엽에 해당한다. 유공광구호는 형식이 다양해지고 출토량도 급증하지만 1기에 비해 분포지역이 축소된다. 3기는 장경화된 Db식과 Dc식만 남아 있는 시기로 6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유공광구호의 분포지역은 더욱 축소된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유공광구호는 5세기 전·중엽에 황룡강·극락강지역의 생활유적에 등장하여 영산강중류지역을 포함한 영산강 서북부지역에서 U자형의 III식 옹관에 부장되기 시작하며 주변지역으로 넓게 확산된다. 유공광구호는 형식이 다양해지고 출토량이 급증하지만 2기와 3기로 이어지면서 분포권역은 점차 축소되는데, 이는 백제의 영역확장과 관련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advent and development of the yookongkwangoo-ho (wide-mouthed jar with hol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Numerous forms of yookongkwangoo-ho have been discovered around the Yeongsan River. As a result, the Yeongsan River is generally regarded the area of origin of the yookongkwangoo-ho. Therefore, this paper concentrates upon the Yeongsan River area, subdividing it into 10 separate regions, and compares the yookongkwangoo-ho of each area in order to ascertain the nature of its development. Vessel height and mouth diameter are used as attributes in classifying the forms of yookongkwangoo-ho. The period of yookongkwangoo-ho use can be divided into three archaeological periods. Period 1 covers the time from the early 5th to the mid-5th century. It is the period in which the yookongkwangooho first appear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many early forms can be found in the Hwangryong River and Geungnak River areas. Period 2 covers the time from the late 5th to the early 6th century. The yookongkwangoo-ho was prevalent in the Yeongsan River and southern coastal areas. Period 3 dates to the mid-6th century and involves the rapid reduction of quantity. But yookongkwangoo-ho continued to be used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and the southern coastal area. It is argued, based on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that the Hwangryong River and Geungnak River region was the area of origin of the yookongkwangooho. A greater number of yookongkwangoo-ho types have been observed in this region than in other regions. Moreover, a Type Aa yookongkwangoo-ho was discovered in the Haengam-dong pottery kiln at Gwangju. That means that a system of producing yookongkwangoo-ho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in the Hwangryong River and Geungnak River region. The results therefore suggest that the yookongkwangoo-ho first appeared in the Hwangryong River and Geungnak River region, from where it rapidly spread wide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목차

Ⅰ. 머리말
Ⅱ. 유공광구호의 형식분류와 편년
Ⅲ. 유공광구호의 분포양상과 발전과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해선(Haesun Won). (2015).유공광구호의 등장과 발전과정. 한국고고학보, 94 , 70-103

MLA

원해선(Haesun Won). "유공광구호의 등장과 발전과정." 한국고고학보, 94.(2015): 70-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