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三國時代 裝飾大刀의 製作技術과 地域性

이용수 930

영문명
A Study on the Workmanship and Regionality of the Sword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우병철(Byeongcheol Woo)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6집, 104~139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 남부지역 출토 삼국시대 장식대도는 龍鳳環頭大刀, 三累環頭大刀, 三葉環頭大刀, 素環頭大刀 등이 있다. 기왕의 연구는 개별 장식대도를 집중 분석하여 전체의 틀에서 지역성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 글은 기왕의 연구성과를 종합 정리하고 필자 나름의 검토를 더하여 삼국시대 장식대도의 형태 및 제작기술의 지역성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검토 대상은 장식대도의 주요 속성인 환두부형태, 병연금구, 병부장식, 외환장식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백제는 용봉환두대도가 대표적이나 그 출토 수는 제한적이며 환두부를 일주식으로 제작한 형태가 지속적으로 유행하였다. 또한 집선문과 원문이 시문된 병연금구는 백제권역에서 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백제권역 내의 영산강유역에서는 일시적으로 백제, 신라, 대가야의 제작기술 특성이 혼합되어 제작된 장식 환두대도가 유행하는데, 이는 영산강유역집단에서 자체 제작한 것으로 보았다. 신라는 삼루 및 삼엽환두대도가 주로 제작되었으며 그 제작기술로는 장방형의 금속판을 돌린 후 환으로 추가 고정하는 병연금구와 연호문 계열의 문양이 베풀어진 병부장식을 갖춘 환두대도가 유행하였다. 대가야는 장식대도 초현기에 백제 및 신라의 제작기술이 일부 확인되며 이후 환두부와 환내장식을 별도로 제작하는 대가야 나름의 별주식 용봉환두대도가 유행하였다. 병부장식은 어린문을 주로 사용하였고, 환두부 외환장식은 주룡문이 서로 대칭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영문 초록

The types of decorated swords (jangsikdaedo)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are Yongbonghwandudaedo (sword with ring-shaped pommel featuring an inner dragon and phoenix motif decoration), Samruhwandudaedo (sword with triple-ringed pommel), Samyeophawndudaedo (sword with ring-shaped pommel featuring an inner three-leaf motif decoration) and Sohwandudaedo (sword with ring pommel). Previous studies have not been able to identify regionality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as they have tended to focus on and analyze individual decorated s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decorated swords and to identify the regionality of manufacturing techniques by holistically considering the findings of existing studie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the ring pommel section, the section where the pommel and hilt meet(byeongyeongeumgu), the hilt decoration, and the decoration of the surface of the ring-shaped pommel are considered as meaningful elements to identify the regionality of the decorated sword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although the Yongbonghwandudaedo is the representative type of sword of Baekjae, the number of swords excavated is limited and swords with the round pommel and hilt manufactured as a single piece continued to be popular. In addition, swords in which the section where the pommel and hilt meet was decorated with hatched or circular designs were generally found in the area of the Baekjae State. Samruhwandudaedo and Samyeophwandudaedo were mainly manufactured in Silla. With regard to manufacturing techniques, decorated swords with hilts featuring a design of linked-bow motifs or those in which the connecting section of the ring-shaped pommel and hilt was wrapped with a rectangular metal plate, which acted to fix the two parts, were popular in the Silla State. The early decorated swords of Daegaya also feature some techniques of the Baekjae and Silla decorated swords. Amongst the subsequent examples, however, are the Byeoljusik Yongbonghwandudaedo, in which the inner decoration was manufactured separatedly from the ring-shaped pommel. Fish motifs were mainly used for the hilt decorations and symmetrical dragon motifs were mainly used to decorate the ring-shaped pommel itself.

목차

Ⅰ. 머리말
Ⅱ. 삼국시대 장식대도의 연구사 및 주요 속성 검토
Ⅲ. 삼국시대 장식대도의 분류와 지역성 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병철(Byeongcheol Woo). (2015).三國時代 裝飾大刀의 製作技術과 地域性. 한국고고학보, 96 , 104-139

MLA

우병철(Byeongcheol Woo). "三國時代 裝飾大刀의 製作技術과 地域性." 한국고고학보, 96.(2015): 104-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