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燕下都의 造營과 都城 機能의 變遷

이용수 249

영문명
The Construction and Transition of Yanxiadu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조진선(Jinson Cho)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6집, 66~103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燕下都의 造營時期에 대해서는 春秋後期說, 戰國中期說, 戰國中後期說 등이 있다. 중국학계에서는 전국시대 중후기의 燕昭王造營說이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 고고학계에서는 연하도 종합보고서에서 제기한 춘추후기조영설을 별다른 비판 없이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학계에서는 연나라가 기원전 5세기에 요동지역까지 영역화했다는 연구까지 진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하도는 동북아시아 철기문화의 등장과 발전과정은 물론 한국 고대사를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유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자는 연하도의 조영시기와 변천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자료들을 분석해서 西漢 전기 이전의 물질문화를 6기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紀年이 확인된 戰國時代~西漢代의 무덤들과 비교하여 연대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I~III기에는 일반거주유적들만 中易水 북안을 중심으로 확인되며, IV기에는 일반거주유적들이 정리되고 궁전건축과 수공업공방, 대형묘와 같은 都城 관련 유적들이 조영된다. 따라서 연하도는 III기 말~IV기 초에 조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연대는 기원전 300년경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양상은 전국시대 중후기의 연소왕조영설과 맥락을 같이한다. 연하도는 연나라가 멸망하면서 도성기능이 중지되지만 신장두30호묘가 조영되고 수공업공방들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기원전 2세기 초까지도 거점기능을 계속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연하도의 춘추후기조영설은 근거로 삼을 만한 물질자료가 조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입론되었고, 그것이 다양한 논의로 확대 재생산되었다. 향후 연나라 물질문화의 발전과정에 대한 보다 많은 천착과 연구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Various theories exist concern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Yanxiadu. The theory that Yanxiadu was constructed during the reign of King Zhao of the Yan State in the middle or late Warring States Period is generally supported by Chinese historians. On the other hand, Korean and Japanese historians uncritically accept the theory that Yanxiadu was constructed during the reign of King Wen of the Yan State, which corresponds to the late Spring and Autumn Period. This paper analyzes the data to find out when Yanxiadu was constructed, as well as to examine the transition by which Yanxiadu became a capital c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material culture of Yanxiadu can be divided into five periods. In PeriodsIto III, only dwellings were discovered along the northern banks of the Zhongyishui. After demolishing the dwellings, structures related to the function of a capital city, such as palaces, industrial areas, and large tombs, were built in Period Ⅳ. This demonstrates that Yanxiadu was constructed sometime between late Period III and early Period IV, around 300 BCE. Such a result corresponds to the theory that Yanxiadu was constructed during the reign of King Zhao of the Yan State. It is assumed that Yanxiadu maintained its function as a stronghold until the early 2nd century BCE, even after the fall of the Yan State. Despite the fact that the theory that Yanxiadu was constructed during the late Spring and Autumn Period had been set forth in the absence of material data that could be used as evidence, the theory has snowballed. Hopefully, investigations and analyses regarding the material culture of the Yan State will progress in the fu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燕나라의 都城 變遷과 燕下都
Ⅲ. 燕下都 遺蹟의 分期와 編年
Ⅳ. 燕下都의 造營과 變遷過程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진선(Jinson Cho). (2015).燕下都의 造營과 都城 機能의 變遷. 한국고고학보, 96 , 66-103

MLA

조진선(Jinson Cho). "燕下都의 造營과 都城 機能의 變遷." 한국고고학보, 96.(2015): 66-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