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立大木 祭儀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이용수 754

영문명
An Archaeological Approach to the Ritual Poles of the Bronze Ag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종철(Jongcheol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6집, 36~65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동기시대의 제의 혹은 의례는 지석묘 축조와 관계된 사례들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고고학 자료가 풍부해짐에 따라 생활제사, 수변제사, 생산제사, 분묘제사 등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넓은 의미의 의례에서 제사라고 하는 특정 영역의 해상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본 글은 우리나라 농경문청동기에 표현된 입대목,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조(韓條)」에 기록된 ‘입대목현령고’ 기록, 그리고 중국 묘족의 민족지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에 원초적인 입대목제의가 존재했을 가능성에 대한 시론적 접근이다. 여기에서 입대목 제의란 취락의 특정 공간에 세워진 대목(大木)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제의의 총체로 정의될 수 있다. 이미 여러 연구자들이 기록에 근거하여 다양한 견해를 제시한 바 있지만, 실증적인 고고학적 자료를 통한 접근이자 해석이라는 측면에서 작은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입대목 제의는 솟대와 ‘입대목현령고’의 복합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청동기시대까지 소급시켜 볼 수 있는 근거로서 진안 여의곡과 김해 율하리에서 조사된 2단 굴광의 원형 수혈을 제시하였다. 또 자료의 부족과 해석의 한계를 조금이라도 극복하기 위해 중국 묘족의 입대목현령고 민족지 자료를 인용하여 입대목의 형태와 설치에 대한 이해를 보완하였다. 원초적인 입대목 제의와 함께 사천 이금동과 부여 송국리 등에서 확인된 초대형 고상가옥을 의례와 관련된 제전(祭殿)으로 보는 데 동의하면서 청동기시대 농경취락에서의 의미를 추론해 보았다. 특히 이들 중 일부는 매장영역과 인접한 광장이나 제장을 중심으로 존재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입대목 제의와 동일한 맥락에서 신(神)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중요한 키워드로 작용했을 가능성도 제시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rituals and ceremonies of the Bronze Age have generally been regarded for many years as being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dolmens. However, the recent accumulation of related archaeological data has led to more diverse approaches being adopted, thereby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f rituals, including those related with daily life, waterside environments, production activities, and burial practices in the Bronze Age. Such approaches act to shed light on the nature of Bronze Age rituals and ceremonies, including those practiced to honor ancestors and supernatural powers, in particular. This paper adopts the central view that a primordial form of ritual involving the erection of wooden poles existed during the Bronze Age. This view is based on the image of wooden poles depicted on a bronze implement engraved with a tilling scene, a statement concerning a wooden pole recorded in an ancient Chinese text, and ethnographical materials preserved by the Miao people. Rituals involving the use of poles are discussed in a comprehensive manner in this paper by referring to the ancient tradition of village guardian poles in Korea and the relevant ancient Chinese texts. The use of ritual poles in Korea during the Bronze Age has been further confirmed by the discovery of circular double-stepped pits at Yeouigok in Jinan and Yulha-ri in Gimhae. In an effort to surmount the difficulties caused by a lack of materials an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interpretations and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the form and installation of these poles, related ethnographical materials developed and preserved by the Miao people of China are utilized in this study. Apart from the original rituals involving the use of wooden poles, this study also focuses on large raised-floor buildings, the traces of which were discovered at the sites of Igeum-dong in Sacheon and Songguk-ri in Buyeo, and concludes that the buildings were temples closely connected with religious rituals and that the wooden poles were significant religious objects among farming communitie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Bronze Age. Some of these buildings were erected in a public area in the vicinity of a cemetery or a place where religious rituals took place, suggesting that communal awareness of the spirits played an equally important role as the ritual poles in the religious tradition that developed in this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입대목 제의의 기록과 해석
Ⅲ. 농경 취락과 입대목의 의미
Ⅳ. 취락과 제의 장소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철(Jongcheol Lee). (2015).청동기시대 立大木 祭儀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한국고고학보, 96 , 36-65

MLA

이종철(Jongcheol Lee). "청동기시대 立大木 祭儀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한국고고학보, 96.(2015): 36-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