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수업 설계 방안
이용수 461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plan for developing musical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최은아(Euna Choi)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31호, 61~7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16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문해력(文解力, musical literacy) 신장을 위한 수업 설계 방안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음악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과 음악 개념에 대한 인지적 이해력’을 의미하는 음악적 문해력은 독립적으로 음악을 배우고 향유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능력으로 일반학교 음악수업을 통해 체계적으로 지도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학교현장에서는 음악적 활동의 비중이 높아지는 가운데, 음악적 문해력에 대한 관심이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체계적 학습과 즐거운 경험을 분리시켜 사고하는 경향에서 비롯된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음악적 개념·상징기호를 제시(Presentation)하기 전후(前後)에 충분한 준비(Preparation)와 연습(Practice) 활동이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는 코다이 교수 과정(instructional process)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문해력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를 재고(再考)하고, 코다이 교수 과정과 이에 기초한 수업설계를 살펴 본 후,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3학년의 음악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수업 설계 방안을 탐색하였다.
영문 초록
Musical literacy can be defined as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music as well as comprehend the concepts of music. It is the foundation of learning and enjoying music independently and more deeply throughout a student’s life. As such, it should be taught during public school.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teach musical literacy systematically in the stage of elementary school. Unfortunately, it tends to be neglected in current music classes, while more entertaining musical activities are emphasized. This problem is partially caused by the notion that learning musical concepts is an unnecessary detail when compared with the enjoyment of singing and playing. Kodály’s instructional process contains remarkably relevant proposals for this situation. The process consists of three stages: preparation, presentation, and practice. For students to grasp these, teachers must intentionally integrate complexities of structure and style into their lesson planning. The process underscores the essential connection among the three stages, and provides a method for presenting deeper ideas to students without detracting from their enjoyment of music cla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structional design plan for developing musical literacy on the basis of Kodály’s instructional process, and exemplify the instructional design focusing on the 3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음악적 문해력
Ⅲ. 코다이 교수과정과 수업 설계
Ⅳ. 음악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수업 설계 방안 탐색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