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굿 무가 노랫가락의 양상과 기능
이용수 12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신연우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21집, 487~51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1.0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울 경기 지역 굿에서 불리는 노랫가락은 형태가 시조와 같다. 1946년에 이미 이희승은 무당의 노랫가락이 시조의 원상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에 대하여 국악계에서는 반대의 연구 결과를 제출하였다.
노랫가락은 굿 전반에 걸쳐 두루 사용된다. 먼저 안굿에서 본향노랫가락 상산노랫가락 등은 흥겨운 노래로 신들을 모신 다음, 그 신격이 오시는 길을 구체화해서 보여준다. 다음 노래는 신령에게 바치는 술노래이고, 이어서 인간의 축원을 신에게 말하는 내용이 그 뒤 몇 절에 걸쳐 이어진다. 본격적인 진오귀는 시왕노랫가락으로 시작한다. 이어서 중디 노랫가락은 망자가 저승 길 가는 모습을 구체화하여 저승 강을 건너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굿 진행 구조 및 노래 사설의 내용과 연관지어서 이해할 때 노랫가락의 일차적 기능은 請陪이다. 그것이 재수굿의 첫머리인 부정과 가망청배에서 본향노랫가락과 산마누라 노랫가락이 길게 불리고, 진오귀굿의 첫머리인 사재삼성거리에서 시왕가망 노랫가락과 중디 노랫가락을 길게 부르는 이유이다. 각 굿의 첫머리에서 신을 모시는 노래를 길게 부르는 것이다. 그 다음부터는 노랫가락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이유는 이미 한 차례 본격적인 청배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노랫가락의 출현 양상
3. 노랫가락 사설 분석
4. 노랫가락의 기능
5. 마무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민왕 몽진 설화에 나타난 주민들의 역사의식
- <조녹잇당신본풀이>의 전승 유형 연구 : 지역 유형과 광포 유형의 하위 유형 비교를 중심으로
- 양주별산대놀이의 전승집단과 지역공동체 문화와의 관련성
- 근대 민요공동체에 대한 사적 고찰
- 동아시아 농경 및 곡물기원 신화와 문화영웅의 존재양상
- 19세기 말~20세기 초 야담의 전개 양상
- 공동체와 구비문학의 상관관계
- 근대극의 성립과 해체 과정에 나타난 공동체 문화의 위상
- 서울굿 무가 노랫가락의 양상과 기능
- 무속신화에 나타난 救藥모티프의 서사화 양상과 그 의미
- 불교적 感應의 담론 형성에 관하여 : 힘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19세기 말, 20세기 초 잡가의 소통 환경과 존재양상 : 근대적 노래 공동체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근대화 과정에서의 무속과 공동체문화
- 19~20세기 전반기 공동체의 변화와 판소리
- 1900년대 전반기 방랑이야기꾼과 이야기문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