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공연의 대중화를 위한 대학전공교육과정 개정 방안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ways to revise university major education curriculum to popularize traditional performance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왕양(Yang Wang)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1집, 287~3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공연(희곡)의 활성화를 위해 수요자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공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수요자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전통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전공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서 먼저 전통공연의 관람의 수요층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설문문항은 3개 영역 4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10대에서 60대까지 잠재적 수요자 2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로 제작한 요구 조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수요자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항목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서 기술통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를 통해서 수요자들의 요구 중에 가장 먼저 반영해야 할 요소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전통공연에 대한 관심과 인기에 대한 긍정 응답은 높지 않았고, 전통공연의 대중화의 필요성과 향후 의도는 긍정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요자들은 표현력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제시하였고,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하는 것은 기획과 스토리의 재미, 홍보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전공 교육에 대해 타학문과의 융합적 전공 교육을 통해서 새로운 미디어 기술과 기법을 통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전통공연의 대중화를 위한 요소들을 탐색하고,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안을 제시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전통문화 공연도 다양한 연출 기법과 특수효과의 활용을 위해서 간학문적 접근과 융합 전공의 운영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users for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s (play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pecialize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pecialized educ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s by investigating the needs of users, this study first developed a questionnaire for a demand survey targeting the demand group for watching traditional performanc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8 questions in 3 areas. Next,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demand survey created as an online questionnaire targeting 208 potential users from their teens to their 60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needs of user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Nex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each item. Finally,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as used to extract the elements that should be reflected first among the needs of users. As a result, the positive response to interest in and popularity of traditional performances was not high, and the positive response to the necessity and future intention of popularizing traditional performances was high. Next, the consumers suggested expressivenes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the things that need to be improved first were planning, story fun, and promotion.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a curriculum structure that can integrate new media technologies and techniques through integrated specialized education with other disciplines.
Conclusion and Suggestions: This study explored elements for popularizing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presented a plan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raditional cultural performances also consider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operation of integrated majors in order to utilize various directing techniques and special effec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search Method
Ⅳ. Research Results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용 전공 대학생의 창의력에 대한 학습몰입의 영향에 대한 학습스타일의 매개효과 탐색
- 예비 목회자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 동기의 관계 연구
- 노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험 회피와 고독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교육 방법 혁신 방안 탐색
- 목회자 성 비위 예방을 위한 정서지능 고찰
- 교회학교 교리교육 지원을 위한 챗봇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GPTs를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기질, 가정양육환경이 초등학교 1학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미션스쿨 고등학생의 종교성향,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기독교 대학에서의 봉사학습 활성화 방안
- 기독교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그릿과 자기통제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 탐색
- 전통공연의 대중화를 위한 대학전공교육과정 개정 방안 탐색
- 전통민속무용 전공 대학생들의 학습동기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탐구
- 신체적 자기지각이 무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탐색 : 무용 몰입 경험의 매개 효과와 심리적 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애착 외상을 가진 내담자의 정신화를 위한 통합적 심리치료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무용 전공 대학생의 창의력에 대한 학습몰입의 영향에 대한 학습스타일의 매개효과 탐색
- 예비 목회자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 동기의 관계 연구
- 노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험 회피와 고독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