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세 유아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기질, 가정양육환경이 초등학교 1학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Temperament and Home Nurturing Environment of 3-Year-Olds on Problem Behaviors in First-Grade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jung Kim) 하민경(Minkyung Ha)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1집, 199~21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3세 유아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기질 및 가정양육환경이 초등학교 1학년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의 4차년도(2011년도)와 8차년도(2015년도)의 자료 중 1,031명의 아동과 어머니이다. 변인 간 상관 분석 및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했다.
결론 및 제언 : 첫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유아 기질과 초등학교 1학년 문제행동에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가정양육환경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유아 기질은 초등학교 1학년 문제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가정양육환경은 초등학교 1학년의 문제행동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3세 유아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기질, 가정양육환경이 초등학교 1학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낮추고, 양질의 양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자녀가 초등학교 1학년 되는 시기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of the Study :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aternal parenting stress, children temperament, and home nurturing environment of 3-year-old children affect problematic behavior of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31 children and mothers among the data from the 4th year (2011) and 8th year (2015)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of the Childcare Policy Institute. In order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variable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 temperament and problem behavior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home nurturing environment. children tempera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blem behavior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home nurturing environ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 behavior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Second, it was foun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children temperament, and home nurturing environment of 3-year-old children had an effect on problem behavior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showed the greatest infl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thers with children can reduce the stress of parenting and provide a high-quality home nurturing environment, which can reduce problematic behavior when their children are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Method
Ⅲ. Research Results
Ⅳ.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용 전공 대학생의 창의력에 대한 학습몰입의 영향에 대한 학습스타일의 매개효과 탐색
- 예비 목회자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 동기의 관계 연구
- 노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험 회피와 고독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교육 방법 혁신 방안 탐색
- 목회자 성 비위 예방을 위한 정서지능 고찰
- 교회학교 교리교육 지원을 위한 챗봇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GPTs를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기질, 가정양육환경이 초등학교 1학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미션스쿨 고등학생의 종교성향,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기독교 대학에서의 봉사학습 활성화 방안
- 기독교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그릿과 자기통제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 탐색
- 전통공연의 대중화를 위한 대학전공교육과정 개정 방안 탐색
- 전통민속무용 전공 대학생들의 학습동기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탐구
- 신체적 자기지각이 무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탐색 : 무용 몰입 경험의 매개 효과와 심리적 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애착 외상을 가진 내담자의 정신화를 위한 통합적 심리치료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무용 전공 대학생의 창의력에 대한 학습몰입의 영향에 대한 학습스타일의 매개효과 탐색
- 예비 목회자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 동기의 관계 연구
- 노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험 회피와 고독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