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체적 자기지각이 무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탐색 : 무용 몰입 경험의 매개 효과와 심리적 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Influence of Physical Self-Percep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Dance Majoring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Experi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양광(Guang Yang)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1집, 259~2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지각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옹 몰입 경험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자본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무용 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지각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옹 몰입 경험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자본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서 신체적 자기지각, 심리적 행복감, 무용 몰입 경험, 심리적 자본 측정도구를 선택해서 온라인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대상을 중국내 재학중은 무용 전공 대학생 8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정규성과 요인 간의 다중공선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과 이변량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신체적 자기지각과 무용몰입경험, 심리적 자본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서 다중회귀 분석(단계적 선택)을 수행하였고,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신체적 자기지각의 관계에서 무용몰입경험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집단 간 비교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행복감에 대해 무용 몰입경험의 학습행동 사고의 통합, 학습과 과제에 대한 몰두가 영향을 주었고, 신체적 자기 지각의 무용유능감과 심리적 자본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신체적 자기지각을 무용몰입경험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개모형에 대해 심리적 자본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 지각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용 몰입 경험과 심리적 자본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무용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을 위해서 무용몰입경험을 제공하고, 심리적 자본을 관리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of Researc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experi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effect of physical percep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Research Content and Method : In order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experi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effect of physical percep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reated by selecting physical self-percep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ance immersion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tools. Next, data were collected from 865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Chin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o verify the normality of the data and multicollinearity between factors. Nex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selection)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physical self-perception, dance immersion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experi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perce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sing a comparative analysis method between groups. As a result, the integration of learning behavior and thinking of dance immersion experience, and immersion in learning and tasks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dance competence of physical self-perception, self-efficacy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resilience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Next, it was found that dance immersion experience mediated physical self-percep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capital moderated the mediation model.
Conclusion and Suggestions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ance immersion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perce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dance immersion experience and support for managing psychological capital be provided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search Method
Ⅳ. Research Results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용 전공 대학생의 창의력에 대한 학습몰입의 영향에 대한 학습스타일의 매개효과 탐색
- 예비 목회자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 동기의 관계 연구
- 노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험 회피와 고독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교육 방법 혁신 방안 탐색
- 목회자 성 비위 예방을 위한 정서지능 고찰
- 교회학교 교리교육 지원을 위한 챗봇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GPTs를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기질, 가정양육환경이 초등학교 1학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미션스쿨 고등학생의 종교성향,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기독교 대학에서의 봉사학습 활성화 방안
- 기독교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그릿과 자기통제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 탐색
- 전통공연의 대중화를 위한 대학전공교육과정 개정 방안 탐색
- 전통민속무용 전공 대학생들의 학습동기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탐구
- 신체적 자기지각이 무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탐색 : 무용 몰입 경험의 매개 효과와 심리적 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애착 외상을 가진 내담자의 정신화를 위한 통합적 심리치료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무용 전공 대학생의 창의력에 대한 학습몰입의 영향에 대한 학습스타일의 매개효과 탐색
- 예비 목회자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 동기의 관계 연구
- 노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험 회피와 고독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