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독교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그릿과 자기통제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rit, self-control,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n self-efficacy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철(Eunchul Lee)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81집, 155~17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그릿과 자기통제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충남 소재의 A 기독교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자기통제, 그릿, 학업지연행동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정규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을 수행하였고, 변인 간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이변량 상관계수를 사용한 상관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선택적 방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 그릿,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해 자기통제와 그릿, 학업적지연행동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에 대해 자기통제의 신뢰성과 절제, 그릿의 학업적 열정과 끈기, 흥미 유지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에 대한 자기통제의 영향에 대해 그릿과 학업적지연행동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위해서는 진로목표 설정과 진로로드맵 작성을 통해서 장기목표를 설정함으로서 그릿을 강화하는 지원 전략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rit, self-control,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n self-efficacy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self-efficacy, self-control, gri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s of students enrolled at Christian University A in Chungn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o verify the normality of the data,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bivariate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performed to confirm multicollinearity between variables. Nex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ective method) was perform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self-efficacy.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self-control, gri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s. Conclusion and suggestions: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gri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s i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was influenced by the reliability and self-control of self-control, academic passion and persistence of grit, and interest maintenance. Next, it was found that gri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ediated the effect of self-control on self-efficac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it was suggested to provide a support strategy that strengthens grit by setting long-term goals through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roadmap writing.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search Method
Ⅳ. Research Results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철(Eunchul Lee). (2025).기독교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그릿과 자기통제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 탐색. 기독교교육 논총, (), 155-176

MLA

이은철(Eunchul Lee). "기독교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그릿과 자기통제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 탐색." 기독교교육 논총, (2025): 155-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