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자인 씽킹 기반 팀 문제해결 교육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예비 교사의 활동과 변화 양상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Activity Patterns in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Design Thinking-based Team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유현(Yu-hyun Choi) 이동원(Dong-won Lee) 임윤진(Yun-jin Lim) 이승원(Seung-won Lee) 성의석(Eui-suk Sung) 한정(Jung Han)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8권 제1호, 73~9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디자인 씽킹 기반 팀 문제해결 교육 프로그램(Design Thinking-based Team Problem-Solving, DTbTPS)’을 예비 교사 교육에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 교사의 활동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세 개 대학의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DTbTPS를 적용하였으며, 질문지와 인터뷰 등을 활용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토대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TbTPS 적용 과정에서 예비 교사는 17가지 유형의 반응을 보였다. 둘째, 예비 교사들이 DTbTPS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활동과 변화 양상은 문제 확인 단계, 문제해결 단계, 문제해결 결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DTbTPS는 예비 교사들이 디자인 씽킹 과정에 대하여 이해할 뿐만 아니라 교사로서 학생들을 교육할 때 학생의 처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적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DTbTPS에서 예비 교사의 활동과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능적인 측면보다 감정적인 변화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감정 변화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셋째, DTbTPS와 같은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이 예비 교사들의 교육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할 때에는 그 안에 담긴 교육 철학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d the “Design Thinking-based Team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 (DTbTPS)” to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analyzed the activity patterns observed during the process. The DTbTPS was implemented with pre-service teachers from three universities,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hibited 17 distinct types of responses during the DTbTPS. Their activity pattern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the problem-identification stage, the problem-solving stage, and the problem-solving outcome sta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cope of the DTbTPS should be expanded, as it not only enhances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but also promotes empathy toward students. Furthermore,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emotional rather than functional chang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students' emotional experiences in educational setting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the DTbTPS, can influenc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philosophies. Therefore, it is crucial to design such programs in a way that effectively reflects their underlying pedagogical principl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유현(Yu-hyun Choi),이동원(Dong-won Lee),임윤진(Yun-jin Lim),이승원(Seung-won Lee),성의석(Eui-suk Sung),한정(Jung Han). (2025).‘디자인 씽킹 기반 팀 문제해결 교육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예비 교사의 활동과 변화 양상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 (1), 73-95

MLA

최유현(Yu-hyun Choi),이동원(Dong-won Lee),임윤진(Yun-jin Lim),이승원(Seung-won Lee),성의석(Eui-suk Sung),한정(Jung Han). "‘디자인 씽킹 기반 팀 문제해결 교육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예비 교사의 활동과 변화 양상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1(2025): 73-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