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대한 목회신학적 연구 - 관계적 놀이의 회복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Pastoral Theological Study of the Cross of Christ : Based on the Restoration of Relational Play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김동영(Dong-Young Kim)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208집(2025년 봄호), 371~415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대하여 ‘관계적 놀이’라는 개념을 근거로 하여 목회신학적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에 있다. 십자가는 그리스도인을 위한 신앙의 예시이고 모델이며, 그리스도인의 신앙의 규범과 능력이 된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체험하게 하고, 그리스도를 본받는 삶을 살아가게 한다. 놀이는 인간과 인간 사이에 관계적 경험을 추구하게 하고, 삼위일체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성을 표현하는 본질적이고 궁극적인 형태이다. 상호 내주하는 사랑의 공간 안에서 관계적 놀이는 ‘나의 세계’와 ‘하나님의 세계’를 이어주고, 아울러 ‘다른 사람들의 세계’를 이어준다. 목회신학적 측면에서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능력 안에서 관계적 놀이는 일종의 목회돌봄의 양태이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효과적인 목회돌봄을 위해 다음 세 가지의 요소로 이루어진 관계적 놀이를 가능하게 한다: 십자가 안에서 사랑의 관계 형성과 창조적 자기 변화를 위해 놀이하기, 십자가 안에서 자유와 생명력 있는 놀이하기, 그리고 십자가의 능력 안에서 기쁨과 돌봄의 공동체 형성을 위해 놀이하기.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cross of Christ by using the concept of the restoration of relational play from a perspective of pastoral theology. The cross is a faithful example and model for Christians as well as the norm and strength for Christian faith. The cross of Christ enables us to experience the grace and love of God, and to conform to the life of Christ. Play is a kind of essential and ultimate form which promotes the mutually-informing experience within the human-human relationship, and which establishes the close encounter within the God-human relationship. In the intersubjectively related space, relational play has an essential role for connecting the world of God, the world of I, and the world of others together.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theology, relational play in the power of the cross of Christ is a type of pastoral care. The cross of Christ facilitates relational play which consists of three elements as follows: 1) play of the formation of loving relationship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2) play of freedom and vitality, and 3) play of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of joy and caring.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대한 이해
Ⅲ. 놀이에 대한 이해
Ⅳ. 관계적 놀이의 회복을 위하여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담긴 목회신학적 의미 이해하기
Ⅴ. 나가며 -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관계적 놀이에 근거한 십자가의 영성과 목회돌봄의 함축적/실천적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영(Dong-Young Kim). (2025).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대한 목회신학적 연구 - 관계적 놀이의 회복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 371-415

MLA

김동영(Dong-Young Kim).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대한 목회신학적 연구 - 관계적 놀이의 회복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2025): 371-4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