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NS 이용이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비교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SNS Use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arison
발행기관
글로벌융합연구학회
저자명
정신철(Sinchul Jung)
간행물 정보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4권 제1호, 48~95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몇 년간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깊숙이 침투하여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사회적 상호작용 방식을 변화시켰다. SNS는 개인이 정보를 공유하고, 친구 및 가족과 연결되며 새로운 관계 형성을 촉진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의 심리적 웰빙 및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SNS는 사회적 지지의 원천이 될 수 있지만, 동시에 사회적 비교를 촉진하여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SNS 이용이 개인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사회적 비교와 사회적 지지의 두 가지 측면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SNS 이용을 자아 표현, 지인 소식 확인, 지인과의 소통의 3가지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해 207개의 표본을 수집하고 Smart PLS 4.0(구조방정식 패키지)과 SPSS 23.0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자아 표현, 지인 소식확인, 지인과의 소통 모두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므로 H1은 모두 채택되었다. 둘째, 지인소식 확인은 사회적 비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H2-2는 기각되었다. H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셋째, 사회적 지원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H3는 채택되었다. 넷째, 사회적 비교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H4는 기각되었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have deeply infiltrated people's daily lives, altering communication methods and modes of social interaction. SNS provides a platform where individuals can share information, connect with friends and family, and foster the formation of new relationships. These changes can hav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SNS can serve as a source of social support, but it can also promote social comparison, which may negatively impact self-esteem.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SNS usage on an individual's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through two aspects: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support. Based on prior research, SNS usage was classifi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self-expression, checking updates from acquaintances, and communication with acquaintances. A survey was administered, collecting 207 samples,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using Smart PLS 4.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ackage) and SPSS 23.0.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ll three factors—self-expression, checking updates from acquaintances, and communication with acquaintances—were found to influence social support, leading to the acceptance of H1. Second, checking updates from acquaintances did not have an effect on social comparison, resulting in the rejection of H2-2. Thus, H2 was partially accepted. Thir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an individual's life satisfaction, leading to the acceptance of H3. Fourth, social comparison did not positively influence life satisfaction, resulting in the rejection of H4.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신철(Sinchul Jung). (2025).SNS 이용이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비교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4 (1), 48-95

MLA

정신철(Sinchul Jung). "SNS 이용이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비교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4.1(2025): 48-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