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특성과 서비스 특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와 사용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AI-Based Chatbot Characteristics and Service Characteristics on Continuanc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Value and User Satisfaction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김미진(Mi-Jin Kim) 김하균(Ha-Kyun Kim)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4권 제1호, 14~2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공지능(AI)기반 챗봇은 빠르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챗봇의 특성 및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 지각된 가치와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AI 기반 챗봇의 특성(개인화, 의인화, 상호작용)과 서비스 특성(정보성, 신뢰성, 반응성)이 사용자의 지각된 가치와 사용 만족도, 나아가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챗봇 사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mart PLS 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상호작용(β=0.624)이 지각된 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화와 정보성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의인화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속 이용 의도에는 사용 만족도(β=0.624)가 지각된 가치(β=0.246)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챗봇 설계 시 상호작용과 정보 제공의 정확성을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하며, 개인화 및 반응성 기능을 보완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의인화는 무조건 강화하기보다 특정 사용자 그룹과 서비스 목적에 맞춰 차별적으로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챗봇 서비스의 실무적 적용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사용자 경험 및 지속 이용 의도를 제고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설계방향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AI-based chatbots have become a key technology for enhancing user experience by providing fast and accurate information. However, empirical research analyzing how chatbot characteristics and service quality influence users’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service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I-based chatbot characteristics (personalization, anthropomorphism, and interactivity) and service characteristics (informativeness,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on user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servic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7 users who had experience using chatbots,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Smart PLS 4.0.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activity (β=0.624)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while personalization and informativeness also had positive effects. In contrast, anthropomorphism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Furthermore, user satisfaction (β=0.624) had a stronger effect on continued usage intention than perceived value (β=0.246).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prioritize enhancing interactivity and the accuracy of information provision when designing chatbots, as well as to improve personalization and responsiveness features. It also suggests that anthropomorphism should not be uniformly reinforced, but rather applied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specific user group and service objectives. By doing so, this study presents a strategic direction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hatbot services and proposes a concrete design approach that can enhance user experience and foster continued usag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유통기업 아웃소싱 파트너기업 역량과 파트너십 및 기업성과의 관계
-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Tourism Industry of Central Luzon, Philippines
- Major Shareholders' Shareholding and Related Party Transactions: Alignment of Interests or Tunneling?
-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특성과 서비스 특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와 사용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의 정보 특성과 시스템 특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과급 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세대 차이의 조절효과 연구
- 온라인 리뷰의 속성이 고객 활용도를 통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 이용이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비교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