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동차 제품의 연구개발 트렌드 반영 친환경 설계를 위한 QFD 방법론의 사용자 만족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QFD Methodology for Eco-friendly Design Reflecting R&D Trends in Automotive Product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형선(Hyeongseon Kim) 이성욱(Sungwook Yi)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1호, 149~1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동차 제조사 연구소에서 친환경 부품을 개발하기 위해 집중하고 있지만, 아직 실무자들까지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방법론은 없는 상황이다. 많은 제조사가 활용하고 있는 LCA 기반 친환경 방법론은 제품 생애 전 과정에 걸친 수많은 데이터를 모두 확인해야 하므로 결과를 도출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연구소의 일반 실무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QFD 방법론을 활용한 친환경 연구개발 방법론을 제안하고 해당 방법론이 실제 실무자들에게 만족감을 주고 회사의 친환경 목표를 만족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QFD 기반 친환경 개발 방법론은 자동차 제품의 연구개발 트렌드 반영을 위해 친환경 설계 대상 아이템 관련 연구 현황, 특허 현황, 연구 연관 정책 등 연구개발 관점을 고려한 내부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여 중점 친환경 개선 부품 기능을 선정한다. 선정된 기능의 개선을 위해 TRIZ 방법론에서 활용되는 기능 모델링을 활용해 개선할 상세 부품을 선정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실무자가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설계 QFD 프로세스가 실제 연구소 구성원들에게 만족도를 주고 이러한 만족도가 실제 친환경 해결책 도출 효과에 도움을 주는지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QFD 기반 친환경 설계 방법론을 이용할 때, 실무자가 생각하는 친환경 설계 방법론의 특성과 연계된 방법론에 대한 만족도가 확인됐고 실제 친환경 설계 도출물이 내외부 고객의 목표 만족, 절차 수립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만족도와 연계된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영문 초록
A recent issue that has emerged as a major concern in the automobile industry is the eco-friendly design of automobile products. In reality, most automobile products are not recycled and emit a lot of carbon during the automobile operation process, which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To solve this problem, many automobile manufacturer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great efforts to design eco-friendly products.
Although automobile manufacturer research institutes are focusing on developing eco-friendly parts, there is still no methodology that can be usefully used by practitioners. The LCA-based eco-friendly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 utilized by many manufacturers requires checking a large amount of data throughout the entire product life cycle, so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derive results and is difficult for general practitioners in research institutes to use.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co-friendly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ology using the QFD methodology and analyze whether the methodology can satisfy practitioners and satisfy the company's eco-friendly goals.
The QFD-based eco-friendly development methodology selects key eco-friendly items by utilizing the opinions of internal experts who conside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erspectives such as the research status, patent status, and research-related policies for eco-friendly design target items in order to reflect the megatrends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erspective of automobile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the selected eco-friendly items, the functional modeling utilized in the TRIZ methodology is utilized to select detailed parts to be improved.
In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if the eco-friendly design QFD process that can be utilized by actual practitioners can provide satisfaction to actual research institute members and produce the effect of deriving eco-friendly solution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confirmed that when using the QFD-based eco-friendly design methodology, the satisfaction of the methodology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friendly design methodology that practitioners think of was confirmed, and the actual eco-friendly design derivation has an effect linked to satisfaction in terms of being able to satisfy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 goals and establish procedur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친환경 방법론 개발
Ⅳ. 연구 모형과 가설 설정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립드 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개발 및 적용
- 중소기업의 특허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 반응: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C21)을 중심으로
- 시니어 재직자의 창업가 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문제해결을 위한 ‘기획력’ 및 ‘실행과 모험감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학 창업교육 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D대학 벤처창업융합전공을 중심으로
- 비모수적 접근법에 의한 저비용 항공사의 생산성 평가와 개선 방안
- 자동차 제품의 연구개발 트렌드 반영 친환경 설계를 위한 QFD 방법론의 사용자 만족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정부 창업지원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연구: 202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 지각된 과잉자격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플립드 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개발 및 적용
- 중소기업의 특허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 반응: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C21)을 중심으로
- 시니어 재직자의 창업가 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