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각된 과잉자격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2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발행기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저자명
왕이칭(Yiqing Wang) 박재춘(JaeChu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1호, 113~13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기조절이론을 기반으로 지각된 과잉자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과 동시에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중국 내 기업에 재직중인 직원 37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분석은 SPSS 27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들의 지각된 과잉자격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각된 과잉자격은 잡 크래프팅 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지각된 과잉자격과 혁신행동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지각된 과잉자격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잡 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혁신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각된 과잉자격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은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지각된 과잉자격이 혁신행동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는 상호작용 공정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 높은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self-regulation theory, it verifies the impa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Behavior,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ve Fairness. 373 employees of Chinese companies were verified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on effect by using spss27,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f the membe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Behaviour;Secondly, the members believe tha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Crafting;Thirdly,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the Innovation Behavior, in the other words, Perceived Overqualification directly affects Innovative Behavior, and also indirectly affect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Job Crafting; Fourthly,Interactive Fairness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In other words, the positive impa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the Innovative Behavior in the group with high Interactive Fairness is stronger than that in the group with low Interactive Fairnes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es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이칭(Yiqing Wang),박재춘(JaeChun Park). (2025).지각된 과잉자격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9 (1), 113-134

MLA

왕이칭(Yiqing Wang),박재춘(JaeChun Park). "지각된 과잉자격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9.1(2025): 113-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