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들의 ChatGPT 활용 수업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이용수 22
-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of ChatGPT-Based Class Experienc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소현(So-Hy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9 No.4, 905~9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ChatGPT-based class experienc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eight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from a four-year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who were attending a 15-week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ourse utilizing ChatGPT. They expressed their experiences with ChatGPT-based classes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individual interviews, and self-reflective reports from simulated classes, with th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 researcher for the purposes this study.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with ChatGPT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main themes: “Exploratory Experiences” and “Deepening Experiences.” “Exploratory Experiences” could be further divided into “New Possibilities” and “Burdens vs. Challenges,” while “Deepening Experiences” included “A New Partner in the Classroom” and “The Shadow of Dependence.” These four main themes were further divided into nine sub-themes, provid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ir meaning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the potential educational applications of ChatGPT, including trai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possible u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llaboration opportunities with teachers, and effective utilization strategie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 critical approach to AI use in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가족복지학 제29권 제4호 목차
-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인식연구 - Q모집단 구성을 위한 FGI를 중심으로
- 유아기 첫 자녀를 둔 30대 부부의 양육경험과 부부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부모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의 애도 과정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윤리 리터러시 지식과 태도의 관계
-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어린이집 일상 속 아동권리 존중의 경험 - 교사의 목소리
- 중학교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학교부적응과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LMS 기반 원격교육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학습 동기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 이러닝 효능감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 효과
- 예비유아교사들의 ChatGPT 활용 수업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장애수용도, 양육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 가족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과 아동권리인식이 아동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아동친화도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참고문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 유아교육연구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교육컨설팅코칭연구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역량 개발학습연구
- 교원교육
- 기독교교육논총
- 교과교육학연구
- 유아교육연구
- 영유아교육보육연구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 유아교육학논집
- Center for Curriculum Redesign
- Proceedings of the 2020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 Smart Learning Environments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