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첫 자녀를 둔 30대 부부의 양육경험과 부부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Parenting Experiences and Marital Communication A Study of First-Time Parents in Their 30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고정국(Junggoog G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9 No.4, 733~75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arenting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 patterns of couples in their 30s raising their first child in early childhood, with a focus on how these experiences shape their relationship dynamics and personal growth. Methods: A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employed. In-depth individual and coupl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dual-income couples (N=10) in their 30s with a first child aged 3-6 years.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Results: Five main categories emerged from the analysis: 1) Encountering the child: Initial adaptation to parenthood; 2) Transitioning from a couple to parents: Role changes and shifts in communication patterns; 3) Family restructuring: Adjustments in family dynamics and roles; 4) Understanding the world through the child: Parental growth and value changes; and 5) Developing a partnership: Evolution of the couple relationship through parenting. Key findings included the challenges of balancing work and childcare, the importance of effective communication in managing parenting stress, the influence of participants' own childhood experiences on their parenting approach, and the transformative impact of parenthood on gender roles and couple dynamics. Conclusions: The study highlights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parenting experiences and couple communication among young parent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enhanced social support systems, including flexible work arrangements, improved parental leave policies, and accessible counseling services for new parents. The research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equal parenting involvement to navigate the challenges of early parenthood successfull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가족복지학 제29권 제4호 목차
-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인식연구 - Q모집단 구성을 위한 FGI를 중심으로
- 유아기 첫 자녀를 둔 30대 부부의 양육경험과 부부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어린이집 일상 속 아동권리 존중의 경험 - 교사의 목소리
- 부모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의 애도 과정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 중학교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학교부적응과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윤리 리터러시 지식과 태도의 관계
-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장애수용도, 양육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 가족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들의 ChatGPT 활용 수업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 LMS 기반 원격교육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학습 동기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 이러닝 효능감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 효과
-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과 아동권리인식이 아동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아동친화도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