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KSL 학습자 대상 개념기반 과학 교과 운영 사례연구 -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의미 형성 접근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Concept-Based Science Instruction for Elementary KSL Learners : Focusing on a Meaning-Making Approach with Digital Tool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서현원(Hyeonweon Seo) 강남욱(Namwook Kang)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1호, 285~32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의미 형성 접근법을 적용한 개념기반 과학 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ADDIE 모형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 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12차시의 개념기반 과학 교과 수업을 설계·실행하고, 탐구 경험과 협력적 대화를 강조한 의미 형성 접근법을 적용하여 학습 양상과 효과성을 질적 분석하였다. 결과: KSL 학습자들은 인터넷 이미지 검색을 통해 과학 개념의 속성을 파악하고, 배경지식과 경험을 반영해 창의적으로 시각화하였다. 초급 학습자는 번역 사전을, 중·고급 학습자는 한국어 사전을 활용해 맥락에 맞는 의미를 선택하고 추가 자료를 검색하였다. 협력적 학습 대화는 단순한 설명에서 역할극으로 발전하며, 상황 설정과 인물의 페르소나 부여도 관찰되었다. 결론: 의미 형성 접근법을 적용한 개념기반 교육은 KSL 학습자의 교과 개념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디지털 도구 활용은 KSL 학습자의 교과 학습에서 맞춤형 교육 실현의 유효한 방안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ign and analyze a concept-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 applying a meaning-making approach for KSL learners. Methods: Following the ADDIE model, a 12-session concept-based science clas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third-grade KSL learners. The instruction applied a meaning-making approach emphasizing inquiry experiences and collaborative dialogues, and the learning processes and effectivenes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Results: KSL learners identified scientific concept attributes through internet image searches and creatively visualized them by reflecting their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s. Beginners used bilingual dictionaries, whil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utilized Korean dictionaries to select contextually appropriate meanings and search for additional resources. Collaborative learning dialogues evolved from simple explanations to role-plays, including scenario settings and character personas. Conclusion: The concept-based instruction applying a meaning-making approach effectively supported KSL learners’ subject concept learning. The use of digital tools suggests a promising strategy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education in KSL learners’ subject learn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과학 교과 적응 한국어 수업의 설계와 운영
4. 개념기반 과학 교과 운영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1호 목차
- ChatGPT를 활용한 쓰기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프롬프트 전략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다국적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소집단 활동 연구 - 입장 취하기와 역할 변화 양상을 중점으로
- 국어교육에서 시민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시민교육의 연계성 분석
- 초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증진을 위한 온라인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진화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 언어정책사적 고찰을 통한 교육 내용화 연구
- 한국어 종결 표현에서의 추측 표현 사용역 분석 연구
- 중,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교과서 외 읽기 텍스트(Informational Text) 선택에 대한 인식 연구
- 독서 문화의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내면 탐구를 위한 면담 질문 생성 전략 교육 내용 연구
- 초등 KSL 학습자 대상 개념기반 과학 교과 운영 사례연구 -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의미 형성 접근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의 교과내용지식 탐색적 연구 - 한국어 상대높임법에 대한 예비 교사와 경력 교사의 인식 양상을 중심으로
- 구술 발화에 나타난 울산 지역어의 모음 어미 교체 양상
- 완곡 표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 한·중 드라마 병렬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1호 목차
- ChatGPT를 활용한 쓰기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프롬프트 전략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다국적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소집단 활동 연구 - 입장 취하기와 역할 변화 양상을 중점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