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서 문화의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13
- 영문명
- A Critical Review of the Educational Content of Reading Culture : Focusing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류보라(Bora Ryu)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1호, 163~19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독서 문화에 대한 교육 내용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독서 문화에 대한 교육 내용을 확인하고 적절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독서 문화 교육 내용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도입되었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도 유지되고 있었다.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방식을 살펴보면 학습 목표 차원에서는 반영되었으나 학습 내용으로는 변형되는 방식으로 실행되었다. 이에 독서 문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독서 문화 참여를 위한 교육 내용이 부족하였다. 교육 내용이 충실하게 실행되지 못한 이유는 독서 문화의 개념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았고, 태도 관련 교육 방법이 구체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결론: 독서 문화에 대한 연구와 교육 내용의 개발, 독서 문화 형성 참여와 태도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educational content of reading culture, focusing on curriculum and textbook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content on reading culture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analyzed and the appropriateness and problems were analyzed. Results: Reading culture education content was introduced during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was maintain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1) Looking at the way textbooks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t was reflected at the level of learning objectives but was implemented in a way that was transformed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2) There was a lack of educational content on accurate understanding of reading culture and participation in reading culture. 3) The reason why the educational content was not implemented faithfully is because the concept of reading culture was not clearly presented and the attitude-related education method was not specific. Conclusion: Research on reading cultur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and development of specific educational methods for participation in and attitude towards reading culture are need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교육과정에 나타난 독서 문화 교육 내용
4. 교과서에 나타난 독서 문화 교육 내용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1호 목차
- ChatGPT를 활용한 쓰기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프롬프트 전략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다국적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소집단 활동 연구 - 입장 취하기와 역할 변화 양상을 중점으로
- 국어교육에서 시민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시민교육의 연계성 분석
- 초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증진을 위한 온라인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진화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 언어정책사적 고찰을 통한 교육 내용화 연구
- 한국어 종결 표현에서의 추측 표현 사용역 분석 연구
- 중,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교과서 외 읽기 텍스트(Informational Text) 선택에 대한 인식 연구
- 독서 문화의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내면 탐구를 위한 면담 질문 생성 전략 교육 내용 연구
- 초등 KSL 학습자 대상 개념기반 과학 교과 운영 사례연구 -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의미 형성 접근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의 교과내용지식 탐색적 연구 - 한국어 상대높임법에 대한 예비 교사와 경력 교사의 인식 양상을 중심으로
- 구술 발화에 나타난 울산 지역어의 모음 어미 교체 양상
- 완곡 표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 한·중 드라마 병렬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1호 목차
- ChatGPT를 활용한 쓰기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프롬프트 전략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다국적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소집단 활동 연구 - 입장 취하기와 역할 변화 양상을 중점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