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화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 언어정책사적 고찰을 통한 교육 내용화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volv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 : Historical Reflections on Language Policy for Curriculum Content Explor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주세형(Sehyung Joo)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1호, 217~24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를 위한 본질적 교육과정 구축을 전제로, 학문 목적 한국어 현상을 범시태로 간주하며 관련되는 언어정책사적 사건을 해석하여, 교육적 가치를 도출해 냄으로써 학문 목적 한국어 현상에 대한 교육 내용화를 시도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두 문화권의 학습자 유형을 가정하고 학습자가 겪을 인지적·정의적 어려움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요구를 거점 개념으로 도출해 내었다. ‘학문 목적 한국어’에 대한 스코프가 다양화될 수 있도록 거점 개념과 관련 있는 언어정책사적 사건을 선택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풍부히 해석한다. 결과: 현대적 학문 목적 한국어의 시작은 근대 계몽기 이후이며, 교육적 가치는 근대 계몽기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다각도로 도출해 낼 수 있다. 학문에 대한 인식, 언어공동체가 학문의 매체로 우선 선택하는 문자 체계에 대한 인식에 따라 ‘어휘 교육, 읽기 교육, 다중언어적 인식, 번역’에 대한 스코프를 확장할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육 내용화 연구에 대한 이론적 관심을 촉발할 수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본질적 교육과정의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 for academic purposes in order to design instructional content that can be organized. Methods: To this end, learner needs are derived as anchor concepts, centering on the cognitive and defining difficulties learners will face before reaching the goals they need to reach, given the types of learners from both cultures and the language communities they belong to. To enrich the scope and depth of the discuss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e select events in the history of language policy that are relevant to the anchor concept and interpret their pedagogical value. Results: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has evolved in response to the Korean community’s perception of academia and the language community’s preferred writing system as a medium of scholarship. In particular, modern academic Korean has its origins in the post-Modern Enlightenment period, and its educational value for both types of learners can be derived in different ways from the pre- and post-Modern Enlightenment periods. Conclus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contentiza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목차
1. 문제 제기
2. 연구 방법
3. 근대 계몽기 이전
4. 근대 계몽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1호 목차
- ChatGPT를 활용한 쓰기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프롬프트 전략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다국적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소집단 활동 연구 - 입장 취하기와 역할 변화 양상을 중점으로
- 국어교육에서 시민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시민교육의 연계성 분석
- 초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증진을 위한 온라인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진화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 언어정책사적 고찰을 통한 교육 내용화 연구
- 한국어 종결 표현에서의 추측 표현 사용역 분석 연구
- 중,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교과서 외 읽기 텍스트(Informational Text) 선택에 대한 인식 연구
- 독서 문화의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내면 탐구를 위한 면담 질문 생성 전략 교육 내용 연구
- 초등 KSL 학습자 대상 개념기반 과학 교과 운영 사례연구 -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의미 형성 접근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의 교과내용지식 탐색적 연구 - 한국어 상대높임법에 대한 예비 교사와 경력 교사의 인식 양상을 중심으로
- 구술 발화에 나타난 울산 지역어의 모음 어미 교체 양상
- 완곡 표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 한·중 드라마 병렬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1호 목차
- ChatGPT를 활용한 쓰기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프롬프트 전략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다국적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소집단 활동 연구 - 입장 취하기와 역할 변화 양상을 중점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