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배문화 서사 구조 활용 실존치료 기반 진로성찰 프로그램 구상 방안 - 추사 김정희 유배 서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27
- 영문명
- Designing a Career Reflection Program Based on Existential Therapy Utili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Exile Culture : Focusing on the Exile Narrative of Chusa Kim Jeong-hee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 저자명
- 양준영(Joonyoung Yang)
- 간행물 정보
- 『기전문화연구』제45권 제2호, 143~16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배문화 서사 구조를 활용하여 실존치료적 관점에서 진로성찰 프로그램을 구상하는 데 있다. 급변하는 사회로 인해 개인이 직면하는 고통과 불안 또한 높 아지는 만큼, 유배라는 한계상황을 마주하고 이를 극복한 추사의 삶과 진로에 대한 태도는 현대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추사 김정희의 유배 서사를 절망과 고독, 자아 성찰, 자아 실현의 세 단계로 구분하고, 실존치료적 관점에서 분석하였 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성찰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현재 마주한 한 계상황을 이해하고(1회기), 자신의 가능성을 탐구하고(2회기) 목표를 실현할 수 있게 구체 화함으로써(3회기) 한계상황을 극복하고 실존적 존재로서 진로를 구성하도록 돕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유배문화의 긍정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진로 및 철학 분야와 같이 다른 영역 과의 융합을 통해 개인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sign a career reflection program from an existential therapeutic perspective by utili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exile culture. As rapid social changes increase individual suffering and anxiety, the attitude of Chusa Kim Jeong-hee toward life and career, as demonstrated in his response to the existential challenges of exile, offers significant insights for modern societ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ivides Chusa's exile narrative into three stages: despair and solitude, self-reflection, and self-actualization, and analyzes it from an existential therapeutic perspective. Based on these findings, a career reflec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is designed to help individuals understand their current existential challenges (Session 1), explore their potential (Session 2), and concretize and achieve their goals (Session 3), thereby overcoming limitations and constructing their career as existential be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eds new light on the positive values of exile culture and explores ways to integrate it with other fields, such as career development and philosophy, to support individual growth.
목차
1. 머리말
2. 유배문화의 서사 구조의 일반성
3. 실존주의 치료의 주요 개념
4. 실존치료적 관점에서 유배문화 서사 분석 - 추사 김정희 유배 서사를 중심으로
5. 진로성찰 프로그램 구상 방안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전문화연구 제45권 제2호 목차
- 조선후기 고지도를 통해 본 하남(河南) 지역의 역사적 장소성
- 서울·경기지역 국악의 갈래별 특성에 따른 초등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안
- 조선시대 경기 광주 일대 창마을의 형성과 분화 - 하남시 상사창동·하사창동을 중심으로
- 유배문화 서사 구조 활용 실존치료 기반 진로성찰 프로그램 구상 방안 - 추사 김정희 유배 서사를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조선신사(朝鮮神社)의 분포와 입지
- 조선시대 인천 소래산(蘇來山)의 역사와 지역적 의미
- 문화유산으로서 지명경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에 있어 지명의 역할과 시사점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제주해녀문화 관광에서의 진정성 인식과 형성 - 제주 ‘해녀의 부엌’을 사례로
- 조선시대 도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과 사례 연구 - 양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 읍치의 여제(厲祭) 의례와 여단(厲壇)의 장소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