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경기 광주 일대 창마을의 형성과 분화 - 하남시 상사창동·하사창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Granary Village in Gwangju, Gyeonggi-do during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Sangsachang-dong and Hasachang-dong in Hanam city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최주희(Joo Hee Choi)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45권 제2호, 73~10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고골[古邑]’로 불리던 하남 교산지구의 상사창동과 하사창동의 역 사적 연원을 문헌자료 및 고고학 발굴 성과를 기초로 검토한 글이다. 상사창동, 하사창동의 모태가 되는 조선시대 ‘사창리(司倉里)’에 관한 문헌자료는 매우 희소한 상태이다. 다행히 2000년대 이후 교산지구와 하사창동 일대의 발굴조사 성과가 학계에 보고되어 이 지역의 건물지 형태가 통일신라~조선시대에 걸친 관아와 객사, 창고터의 성격을 띤다는 것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본고에서는 읍치에 소재한 관영창고로서의 ‘사창(司倉)’이 현 하 사창동과 상사창동 일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고골이 읍치로 기능할 당시 인근에 대규모 창고가 설립될 수 있는 요건들을 검토하여 사창의 조성 시기를 조선전기로 추정해 보았다. 조선전기까지 광주의 행정 중심지이자 물류 거점으로 역할했던 고골과 사창리는 1626년(인조 4) 남한산성 축성 이후 그 역할을 남한산성과 송파에 넘겨주게 되었지만, 그보 다 앞서 오랜 기간 중심부 역할을 해온 지역의 정체성은 20세기를 넘어 지금에까지 마을 이름에 남아 역사로 기억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historical origins of Sangsachang-dong(上司 倉洞) and Hasachang-dong(下司倉洞) in Gyosan(校山)-district of Hanam(河南), which were called ’Gogol’ during the Joseon Dynasty, based on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s. The literary data on the Joseon Dynasty's Sachang-ri(司倉里), which is the predecessor of Sangsachang-dong and Hasachang-dong, is quite limited. Fortunately, since the 2000s, the results of archeological excavations in the Gyosan(校山) district have been reported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it has been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 architectural forms in the area are similar to those of government offices and granaries sites built from the Unified Silla to Joseon periods. Based on this evidence, the article concluded that ’Sachang’ as a type of county(郡) institutions, was established in the areas of Sangsachang-dong and Hasachang-dong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목차

1. 머리말
2. 광주의 면리 편제와 ‘고골’의 위상
3. 읍치 이전 후 군사·물류 거점의 이동과 창마을의 분화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주희(Joo Hee Choi). (2024).조선시대 경기 광주 일대 창마을의 형성과 분화 - 하남시 상사창동·하사창동을 중심으로. 기전문화연구, 45 (2), 73-103

MLA

최주희(Joo Hee Choi). "조선시대 경기 광주 일대 창마을의 형성과 분화 - 하남시 상사창동·하사창동을 중심으로." 기전문화연구, 45.2(2024): 73-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