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후기 고지도를 통해 본 하남(河南) 지역의 역사적 장소성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Historical Placeness of Hanam Region as the Old 'Eupchi' of Gwangju through the Old Map of the Late Jose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 저자명
- 권선정(Seon Jeong Kwon)
- 간행물 정보
- 『기전문화연구』제45권 제2호, 23~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89년 기존 경기도 광주군으로부터 분리 승격된 하남시를 사례로 비교 적 최근 독립된 행정구역으로 등장한 도시 지역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이다. 이를 위해 먼 저 현 하남시 지역의 행정구역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기초해 하남 지역을 담고 있는 조선후기 고지도를 중심으로 하남 지역의 입지적 특성 및 역사적 과정과 관련된 장소적 특 성을 살펴보았다. 한남정맥과 한강이 유정하게 만나는 장소에 위치한 하남 지역의 행정구 역 변천과 관련해 조선시대 광주부와 1914년 등장한 광주군 체제는 빗겨갈 수 없는 주요한 지리적, 역사적, 행정적 토대가 되었다. 오랫동안 광주부의 치소이자 읍치로 역할 해 온 하 남 지역의 역사적 과정은 1626년(인조 4) 광주부의 행정기능이 국가적 차원의 남한산성 읍 치로 이전한 후에도 광주부의 구 읍치로서 지역적 차원의 중심지로 유지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남 지역의 역사적 장소성을 대변해주는 경관이 구 읍치의 핵심지역으로 이 전하는 광주향교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historical-geographical approach to urban areas that emerged as independent administrative districts relatively recently by using Hanam City as a case study. To this end, I first looked at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district change in the current Hanam city area, and based on that, I looked at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historical process of Hanam city, focusing on the old map of the late Joseon Dynasty containing the Hanam city. In relation to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Hanam city, the Gwangju-bu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Gwangju-gun system that emerged in 1914 became a major geographical, historical, and administrative foundation that cannot be overlooked. The historical process of Hanam city, which has long served as a administrative center('Eupchi') for Gwangju-bu, can be said to have been maintained as a center at the regional level as an old administrative center('Eupchi') for Gwangju-bu even after the administrative functions of Gwangju-bu were transferred to the Namhansanseong at the national level in 1626.
목차
1. 들어가며
2. 하남 지역의 행정구역 변천 및 고지도 현황
3. 한남정맥(韓南正脈)과 한강이 만나는 ‘유정(有情)’한 하남 지역
4. 광주부의 옛 읍치(邑治)로서 하남의 역사적 장소성
5.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전문화연구 제45권 제2호 목차
- 조선후기 고지도를 통해 본 하남(河南) 지역의 역사적 장소성
- 서울·경기지역 국악의 갈래별 특성에 따른 초등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안
- 조선시대 경기 광주 일대 창마을의 형성과 분화 - 하남시 상사창동·하사창동을 중심으로
- 유배문화 서사 구조 활용 실존치료 기반 진로성찰 프로그램 구상 방안 - 추사 김정희 유배 서사를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조선신사(朝鮮神社)의 분포와 입지
- 조선시대 인천 소래산(蘇來山)의 역사와 지역적 의미
- 문화유산으로서 지명경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에 있어 지명의 역할과 시사점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제주해녀문화 관광에서의 진정성 인식과 형성 - 제주 ‘해녀의 부엌’을 사례로
- 조선시대 도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과 사례 연구 - 양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 읍치의 여제(厲祭) 의례와 여단(厲壇)의 장소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