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외개방도와 실물경제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7

영문명
The Research on Trade Openness and Volatility of the Real Economy
발행기관
글로벌경영학회
저자명
최돈승(Don-seung Choi) 오동석(Dong-seok Oh) 홍광헌(Gwang-heon Hong)
간행물 정보
『글로벌경영학회지』제21권 제6호, 269~28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외개방도가 실물경제의 변동성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외개방도는 일반적으로 한 국가의 경제규모 대비 무역액의 비중으로 측정한다. 그러므로 대외개방도가 높은 국가는 글로벌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경제 상황과 글로벌 경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오히려 높은 대외개방도가 실물경제의 변동성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대외개방도는 실물경제의 변동성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OECD에 가입되어 있는 25개 국가를 대상으로 1996년부터 2019년까지 총 24개년의 자료를 수집하여 국가마다 3개년씩 총 8개의 관측치를 도출하여 실물경제의 변동성을 측정하였다. 실물경제의 변동성과 관련하여 정형화된 이론적 모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경제성장이론에서의 주요 변수들을 사용하였다. 통제변수로는 GDP 대비 총고정자본형성, 인구증가율, GDP 대비 정부지출을 고려하였으며, 독립변수로 대외개방도(GDP 대비 무역 규모)를 설정하였다. 대외개방도는 제곱항을 모형에 추가하여 실물경제 변동성과의 비선형 관계도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전(1996년~2007년) 자료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후(2008년~2019년)의 자료를 사용한 결과 실물경제의 변동성이 인구증가율, 대외개방도와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외개방도는 실물경제의 변동성과 유의한 역U자형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외개방도가 높아지면서 실물경제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지만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실물경제의 변동성을 축소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rade openness on the volatility of the real economy. A total of 24 years of data were collected from 1996 to 2019 for 25 countries belonging to the OECD, and a total of 8 observations were derived for 3 years for each country to measure volatility. Since there is no standardized theoretical model related to the volatility of the real economy, the main variables of the economic growth model were used and total fixed capital formation to GDP, population growth rate, and government expenditure to GDP wer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and trade openness was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rade openness and real economy volatility was verified by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square term of trade openness. As results of the analyses, no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rom data from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ut using data from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olatility of the real economy was influenced by the population growth rat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openness to the outside world. In addition, the degree of openness to the outside worl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ith the volatility of the real economy.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 volatility of the real economy may increase as trade openness increase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ut that beyond a certain level, the volatility of the real economy may actually be reduce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돈승(Don-seung Choi),오동석(Dong-seok Oh),홍광헌(Gwang-heon Hong). (2024).대외개방도와 실물경제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21 (6), 269-284

MLA

최돈승(Don-seung Choi),오동석(Dong-seok Oh),홍광헌(Gwang-heon Hong). "대외개방도와 실물경제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21.6(2024): 269-2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