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칭행동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용수 87

영문명
The Impact of Coaching Behaviors on Innova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발행기관
글로벌경영학회
저자명
최현정(Hyun Jung Choi) 박종우(Jong Woo Park)
간행물 정보
『글로벌경영학회지』제21권 제6호, 152~185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4차 산업기술의 급속한 환경 변화와 글로벌 경기 침체와 불안, 기술 변화의 가속화로 위협하는 환경속에서 기업은 생존 및 경쟁력 확보에 절실하다. 산업 간 경쟁은 더욱 심화와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서 기업의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이 요구된다. 불확실한 환경에 기업은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성과 도전을 요구함에 따라 혁신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코칭행동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리더의 코칭행동과 구성원들의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개인의 내재적 동기 차원의 자기결정성과 조직몰입 변인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을 통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코칭행동의 요인이 혁신을 강화하는 조직의 리더들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 본 연구 결과로 첫째 리더의 코칭행동은 구성원의 혁신행동, 자기결정성,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둘째 리더의 코칭행동이 구성원의 혁신행동 간의 자기결정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정(+)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셋째 조직지원인식은 리더의 코칭행동과 재직자의 혁신행동 사이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통해 코칭 분야의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이론 기반을 강화하여 차별할 수 있고 학문적 메커니즘을 확장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실무적으로 리더의 코칭행동은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경쟁우위를 추구하는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고 리더의 코칭행동의 개발이 필요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an environment threatened by rapid environmental changes in 4th industrial era technology, global economic downturn and instability, and the acceleration of technological change, companies are desperate to survive and secure competitiveness. Competition between industries is intensifying and requires the continuous change and innovation of companies in unpredictable environments. In uncertain environments, the need for coaching behaviors that can induce innovative behavior is expanding as companies demand creativity and challenges taken on by organization members. This study verifie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ing behavior of leaders and the innovation behavior of members, and attemp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determination from the intrinsic motivation-level of the individual along with moderating effects throug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is study showed that factors of coaching behavior can have a practical effect on the leaders of organizations who reinforce innovat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 coaching behavior of leaders was verifi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novation behavior, self-determin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Second, the coaching behavior of leaders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relationship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innovation behavior of members. Thir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coaching behavior of leaders and the innovation behavior of members. This study can strengthen and differentiate theoretical foundations that are relatively under-researched in the coaching field through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it can be a meaningful study that expands academic mechanisms. In practice, the coaching behavior of leaders can promote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the innovation behavior of members seeking a competitive advantage and it can provide an empirical basis for the coaching behavior development of leader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실증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현정(Hyun Jung Choi),박종우(Jong Woo Park). (2024).코칭행동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21 (6), 152-185

MLA

최현정(Hyun Jung Choi),박종우(Jong Woo Park). "코칭행동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21.6(2024): 152-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