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사례와 교육 방안 고찰 - H대학교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를 중심으로
이용수 24
- 영문명
- Researching Academic Writing Practices and Pedagogy with ChatGPT : A Case Study of H University's “Logical Thinking and Writing” Cours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미나(Mi-na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8輯, 265~30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advent of generative AI technologies, including ChatGPT, has brought transformative changes to education, necessitating an evolution in pedagogical approaches to integrate these tools effectively. Recognizing the potential of AI, universities and governmental bodies have begun implementing policies that embrace generative AI while safeguarding learners' rights to utilize such technologies. In this context, the debate surrounding AI and its role in writing instruction has intensified, prompting both a reevaluation of traditional writing pedagogy and exploration into innovative uses of these tools.
University-level writing education primarily aims to cultivate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inquiry, which are essential for producing true knowledge through academic writing. Given this objective, there is a growing need to investigate how tools like ChatGPT can be practically integrated into the academic writing process without compromising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thinking skills. This study examines this question through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students enrolled in Logical Thinking and Writing, a required liberal arts course at H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The course was designed to incorporate ChatGPT into the academic writing process, with a focus on understanding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Findings reveal that students found ChatGPT most beneficial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topic selection and organizing their writing direction. However, the tool was perceived as less effective during the drafting phase due to the awkward phrasing and errors in its generated content. Furthermore, students highlighted challenges related to ChatGPT's reliance on unverifiable sources, raising concerns about the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its outputs. Other limitations included hallucinations, abstract or generic language, and biases stemming from its training data. Many learners also struggled to craft effective prompts, underscoring the need for targeted instruction on prompt design and strategic questioning.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critical thinking skills to evaluate AI-generated content and ensuring that students learn to ethically and effectively utilize generative AI. Additionally,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develop students' proficiency in prompt engineering, enabling more productive interactions with AI tools. By exploring both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generative AI in academic writing,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in the AI era.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growing body of literature on generative AI in education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an adaptive approach to writing pedagogy that prepares students to collaborate effectively with emerging technologies.
영문 초록
목차
1. 생성형 AI와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
2. 인공지능과의협업을통한글쓰기수업 설계
3. ChatGPT를활용한학술적글쓰기사례 및 결과
4. AI 시대글쓰기교육의교수·학습방안 모색
5. 대학 글쓰기 교육의 가치 재인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제128집 목차
- 『國漢會語』(1895)의 초·종성 관련 표기에 대한 연구
- 인용구문에서 ‘-다라고’의 형태가 보이는 의미·기능적 특성
- 근대계몽기 휴계(休溪) 양규(梁珪)의 생애와 삶, 그리고 한시 작품들
- 남북한 ‘-적(的)’ 파생어에 대한 고찰
- 단재 신채호와 위암 장지연의 계몽 시의론(時議論)
- 기형도 시에 나타난 터부의 희생 의례 연구
- 황순원 소설에 재현된 디아스포라 양상 - 1940년대 말~196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화법과 언어」의 통합 수업 모형 구축 - 문법 영역의 수업을 중심으로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정확도와 선택 양상 연구 -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사례와 교육 방안 고찰 - H대학교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를 중심으로
- PBL 문제 개발에 대한 교수자의 평가 분석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