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國漢會語』(1895)의 초·종성 관련 표기에 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notation of initial and final consonants in 『Gukhan-Hoeeo』(1895)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성옥(Seong-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8輯, 5~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notation patterns in 『Gukhan-Hoeeo』, specifically focusing on Yeoncheol (connected spelling), Jungcheol (double spelling), and Buncheol (separating spelling), the notation of tense consonants in word-initial and word-medial positions, the representation of ‘ㄴ·ㄹ’, and the spelling patterns of ‘ㅅ·ㄷ' at the end of nouns and stems, including consonant clusters. Thus, first, Yeoncheol notation in 『Gukhan-Hoeeo』 is primarily found at the end of stems, particularly with ‘ㄹ·ㄷ'. Jungcheol notation is mostly observed with ‘ㅅ' at the end of nouns and stems. Furthermore, as Buncheol notation became dominant, the study found that over-segmentation also appeared quite frequently in 『Gukhan-Hoeeo』. Second, regarding the notation of tense consonants in word-initial positions, 93.9% of the entries in the Supplementary Index use the Hapyong-Byeongseo of the ‘ㅅ' series, while 90.7% of the entries in the 24 Rows Index use Gakja-Byeongseo. For the notation of tense consonants in word-medial positions, the study discusses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ense consonant representation through forms such as ‘ㅅ$plain consonant,’ ‘ㅅ$Hapyong-Byeongseo’, ‘Hapyong-Byeongseo’, ‘plain consonant$plain consonant,’ and ‘Gakja-Byeongseo.’ Third, regarding the notation of ‘ㄴ·ㄹ' in word-initial and word-medial positions, Sino-Korean words generally retain their original forms. In contrast, native Korean words exhibit a mix of elision and retained forms in word-initial positions. In word-medial positions, forms such as ‘ㄹ$ㄹ,’ ‘ㄴ$ㄹ,’ and ‘ㄹ$ㄴ’ are typically written as ‘ㄹ$ㄴ,’ though instances of ‘ㄹ$ㅇ’ or ‘ㄹ$ㄹ’ are also occasionally found. Fourth, at the end of nouns and stems, the representation of ‘ㅅ·ㄷ' typically takes the form of ‘ㅅ.' As for consonant clusters, ‘ㄺ’ tends to be retained forms, while others like ‘ㅄ·ㄱㅅ’ at the end of nouns and ‘ㄻ·ㄼ·ㄹㅌ·ㅀ·ㅄ·ㄵ’ at the end of stems are largely simplified form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철·중철·분철표기
3. 어두와 어중의 경음 표기
4. 어두와 어중의 ‘ㄴ·ㄹ’ 표기
5. 체언말 및 어간말의 ‘ㅅ·ㄷ’과 자음군 표기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제128집 목차
- 『國漢會語』(1895)의 초·종성 관련 표기에 대한 연구
- 인용구문에서 ‘-다라고’의 형태가 보이는 의미·기능적 특성
- 근대계몽기 휴계(休溪) 양규(梁珪)의 생애와 삶, 그리고 한시 작품들
- 남북한 ‘-적(的)’ 파생어에 대한 고찰
- 단재 신채호와 위암 장지연의 계몽 시의론(時議論)
- 기형도 시에 나타난 터부의 희생 의례 연구
- 황순원 소설에 재현된 디아스포라 양상 - 1940년대 말~196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화법과 언어」의 통합 수업 모형 구축 - 문법 영역의 수업을 중심으로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정확도와 선택 양상 연구 -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사례와 교육 방안 고찰 - H대학교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를 중심으로
- PBL 문제 개발에 대한 교수자의 평가 분석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