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와이 대학교 도서관 한국 전쟁 아카이브 구축과 로컬리티 기록화
이용수 18
- 영문명
- Korean War Archiving Project And Documenting Localities in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Library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김엘리(Ellie Kim) 박예진(Yeajin Park) 최보영(Bo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4권 제3호, 131~14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로컬리티 기록의 관점에서 해외 한국학 관련 기관의 아카이브 구축 사례를 살펴보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해외의 한국학 관련 기관과 해당 지역의 한국 관련 공동체의 연대가 아카이브의 확장 및 로컬리티 기록화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하와이대학교 도서관의 한국 전쟁 아카이브 컬렉션 구축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로컬리티와 로컬리티 기록화의 함의를 재검토하고, 한국과 하와이의 두 지리적 영역이 융합된 로컬리티의 경우와 같은 해외에서 발현할 수 있는 한국학 로컬리티 기록화의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2023년부터 하와이 대학교 도서관은 한국전쟁참전용사협회 하와이 제1지부(Korean War Veterans Association Hawaii chapter 1, 이하 KWVA)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한국전쟁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고 아카이빙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기록관리주체-기록생산주체가 관계를 발전시키며 해외의 한국학 관련 로컬리티 기록을 실천한 사례이다. 기록물의 수집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해외 소재 한국학 관련 기관에서 아카이브를 확장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로컬리티 기록화를 제시하고, 이를 위해 한국 관련 지역 공동체와의 연대의 중요성을 논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실천하기 위한 기록관리주체의 역할과 사례를 통해 발견한 시사점을 공유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s of archive development by research institutions for overseas Korean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documenting the locality and explores development plans.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solidarity between overseas Korean studies institutions and Korea-related communities in the region on the expansion of archives and the practice of locality documentation, using the case of the Korean War Archive Collection at the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Library. For this, it reexamines the implications of locality and locality documentation. In addition, it discusses the methods of Korean studies locality documentation emerging abroad, such as the locality where the two geographical areas of Korea and Hawaii are fused. Since 2023, the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Library has been forming a network with the Korean War Veterans Association Hawaii Chapter 1 (KWVA) to collect and archive materials related to the Korean War. This is a case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ivists and the donor community has been developed to practice documenting the locality regarding Korean studies abroad. It proposes locality documentation as a way to expand archives in overseas Korean studies institutions that inevitably rely on the collection of records and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olidarity with Korea-related local communities. Finally, it shares the role of the record management subject and the implications found through the case.
목차
1. 서론
2. 로컬리티 기록화의 함의
3. 하와이의 로컬리티와 하와이 대학교 도서관에 의한 기록화
4. 하와이 대학교 도서관 한국전쟁 아카이브 컬렉션 구축 과정
5. 시사점 및 한계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