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민참여를 통한 장소 기록화 방안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Place Archiving Methodology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안정희(Jung-Hee Ahn) 신유림(Yoorim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4권 제3호, 45~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소멸된 장소의 기록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론연구를 통해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장소 기록화의 의의를 밝혔다. 장소의 소멸은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매개의 소실을 의미한다. 장소 기록화는 공간의 장소성을 기록하는 과정으로 기억매개체의 상실에 대응하고, 공유기억의 부재를 해소하며, 공동체 정체감을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록의 이해당사자들을 기록의 생산주체로 복원하여 관련된 맥락을 풍부하게 기술하는 방법과 도구를 제공하는 아카이빙 방법론이다. 이에 장소 기록화 현황과 장소 기록화 방안 연구를 통하여 기록화 실행 시 주민의 참여, 기록관을 중심으로 한 장소성의 소통과 그 과정의 기록화, 문화예술 통합 프로젝트의 실행을 주요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이어 증평기록관의 ‘메리놀병원’ 사례를 이 세 가지 방안을 기준으로 설명하여 장소 기록화가 어떠한 과정으로 구현되는지를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trategies for documenting extinct places by clarifying the concepts of place and sense of place and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lace documentation. The disappearance of a place signifies the loss of a medium that evokes memory. Place documentation, a process of recording the sense of place, can restore memory media, resolve the lack of shared memories, and strengthen community identity. It also provides archiving methods and tools to involve stakeholders as record producers to enrich the context further. Thus, the study proposes key strategies, including resident participation, communication of place identity through archives, and cultural-artistic integration projects. The Jeungpyeong Archives’ “Maryknoll Clinic” project serves as a case study based on these strategies to illustrate how place documentation is implemented.
목차
1. 서론
2. 장소 기록화 방안 연구
3. 증평기록관의 ‘메리놀병원’ 기록화 프로젝트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