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록 콘텐츠 개발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ing Archival Contents for Urban Sustainability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이경남(Kyungnam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4권 제3호, 105~1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거대도시화가 심화되며 지방 소멸이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멸 위기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록 콘텐츠 개발 방법론을 탐구한다. 장소성 이론 검토를 통해 기록 콘텐츠가 재현하는 장소성이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고,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분석하여 기록 콘텐츠를 구성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기록 콘텐츠와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증진하는 서비스 방안을 모색한다. 이 연구에서 기록 콘텐츠가 장소성을 재현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지원하는 아카이브 전략에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explores methodologies for the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s to support urban sustainability in the context of intensifying urbanization leading to local extinction. Through an analysis of placemaking theorie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ense of place reproduced in archival content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unique local identity. The research propos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onstructing and organizing archival content by examining narrative and storytelling methodologies. In addition, it conceptualizes a service model that enhances the interaction between archival content and users by leveraging digital technologies. This study theoretically confirms that archival content can play a role in reconstructing and supporting placenes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rchival strategies that support urban sustainability.
목차
1. 서론
2. 기록으로 재현되는 장소성과 도시의 지속가능성
3.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정체성 관련 기록 콘텐츠 개발 방안
4. 장소정체성 관련 기록 콘텐츠 활용 및 서비스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